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수도권 1인 가구 연령대별 주거이동 유입 영향요인 분석: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 인구이동 자료(2015~2020)를 중심으로/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f Residential Mobility of Single-Person Households by Age Group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Focused on the Migration Data(2015-2020) of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저자명 손아람(Son, Aram) ; 이수기(Lee, Sugie)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5 No.1(통권 제121호)
페이지 pp.71~90
ISSN 15980650
주제어 1인 가구; 주거이동; 인구이동; 음이항 회귀모형 Single-person Household; Residential Mobility; Population Mobility;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요약1 최근 국내 1인 가구는 전체 가구 유형의 약 33.4%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존의 4인 가구 중심의 정책에도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의 국내인구이동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도권을 대상으로 1인 가구 연령대별 주거이동 유입 지역의 특성을시계열적으로 파악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인 가구는 비슷한 연령대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으로 유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는 평균개별공시지가가 낮은 지역과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주택이 밀집된 지역으로 유입함을 보였다.?? 또한,?? 대중교통과의 접근성,?? 공원및 병원 등 도시 편의시설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임대주택의 경우 임대주택 공급 지역과 1인 가구 수요 계층 거주지 간에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연구는 연령대별 1인 가구의 유입 영향요인을 종단면적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을통해 도출된 결과는 1인 가구 주거복지 서비스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에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요약2 Recently,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constitute approximately 33.4% of the total household type, signifying a need for adjustments in prevailing policies that predominantly focuses on four-person households. Accordingly, this study utilized domestic migration data from the MicroData Integrated Service(MDIS) to discer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obility among in-flow areas by age group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observe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tended to move into areas with a concentration of individuals in similar age groups. Moreover, these households were found to be moved into areas with lower average land prices and a prevalence of multi-family housings, including apartments. In addition, proxim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urban amenities such as parks and hospitals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Conversely, regarding public rental housing, a notable disparity emerged between the supply areas and the actual residential locations of the target demographic. Through the examination of longitudinal data,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the influx of single-person households based on age groups. The results are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policies aimed at enhancing residential welfare services and living condition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