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고령자의 신체적 제약, 보행환경에 대한 인식이 고령자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Impact of Physical Limitations and Perceptions of Pedestrian Environment on Depressive Mood Among the Aged People
저자명 오성훈(Oh, Sunghoon) ; 이소민(Lee, So-Mi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5 No.1(통권 제121호)
페이지 pp.53~70
ISSN 15980650
주제어 보행환경; 고령자; 신체적 제약; 보행 이동성; 우울감 Pedestrian Environments; Aged People; Physical Limitations; Walking Mobility; Depressive Mood
요약1 초고령사회로 급격하게 진행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여건하에서 고령자의 심리적 우울감의 정도가 전반적인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고령자 개인의 신체적 조건 및 주거지 보행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고령자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간 범위를 주거지보행환경으로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위한 사례연구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주거지 보행환경은 고령자가 인식하는 안전성과 편의성 그리고 기본적인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적 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로,?? 주거지 보행환경 내 기본적인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시설의 이용/접근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감을 완화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다.?? 두 번째로,?? 걷거나,?? 산책 및 운동,?? 이웃을 만나는 일상적 활동에 어려움을 느낄수록 우울감심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 이동성 제약으로 인해 외출을 꺼리거나 불편하게 생각할수록 우울감 심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고령자들의 신체적 조건과 주거지 보행환경의 수준이 고령자들의 우울감에 종합적인 영향을 미친다는점을 의미하며,?? 보행환경의 개선 및 이동성 지원 정책을 통해 고령자들의 우울감,?? 나아가 삶의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함의를 지닌다.
요약2 While Korea is rapidly changing into super-aged society, it is anticipated that the increasing level of depression can affect aged people’s overall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both physical limitations and percep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s on aged individuals’ depression. A case study site was selected for empirical analysis for the aged in a neighborhood walking environment. The pedestrian environment condition consists of the safety and convenience level perceived by senior citizens, as well as the spatial area where essential services can be accessed. First,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level due to the convenient use/access of essential services facilities in the residential walking environment, the more significant effect of alleviating depression appea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ater the level of difficulty experienced in daily activities such as walking, exercising, and socializing with neighbors, the more the impact of increasing depression was experienced by respondents. Third, the greater reluctance or discomfort experienced due to mobility limitations worsens depression sympto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aged population and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walking environ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levels of depression. Furthermore, improving the walking environment and implementing mobility support policies can enhance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and reduction in depression.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