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로컬크리에이터가 지방도시의 관계인구 확보에 미치는 영향 분석/Analysis of the Influence of Local Creators on Securing Relational Populations in Local Cities
저자명 이창현(Lee, Chang-Hyun) ; 박지영(Park, Jiyoung)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5 No.1(통권 제121호)
페이지 pp.23~36
ISSN 15980650
주제어 로컬크리에이터; 관계인구; 지역살이; 장소정체성; 구조방정식 Local Creator; Relational Population; Local Living; Place Identity;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요약1 본 연구는 한국의 지방도시가 직면한 인구감소와 소멸 위기 상황에서 ‘로컬크리에이터의 활동이 지방도시에 대한 장소정체성 형성 및 관계인구 확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설정하였다.?? 나아가 생애주기별 인구이동 동향을 고려하여 관계인구 가능성이 높은 청년세대를대상으로 매개효과 분석 및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컬크리에이터는 관계인구 형성,?? 지방도시에 대한 환경적ㆍ심리적 요인,?? 지역살이프로그램 만족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자원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관계인구와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지역에 대한 애착성,?? 귀속성 등의 심리적 요인은 관계인구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컬크리에이터의 활동과 관계인구 확보와의 관계에서는 심리적 요인만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방도시의 낙후된 물리적 환경에서 로컬크리에이터의 활동은 단기적으로 유동인구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를 지속가능한 관계로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애착성과 귀속성 등을 강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방도시 활성화 및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민간주체의 역할과 필요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요약2 This study i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activities of local creators will influence the formation of place identity and the attraction of relational populations in the face of population decline and the threat of disappearnce crisis facing local cities in Korea. To test this, the study conducted a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the younger generation, considered as having a high potential for population influx.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ctivities of local creators had positive impacts the attraction of relational populations,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local cities, and satisfaction with local living programs. Secondly, satisfaction with local resources and physical environments showed no correlation with relational populations, while psychological factors to the region positively affect relational populations. Thir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ities of local creators and the attraction of relational populations, only psychological factors exhibited mediating effects. Thus, the activities of local creators and participation in local living programs in underdeveloped cities contributed to the short-term maintenance of relationships. Therefore, strategies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re deemed necessary to establish sustainable connec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riv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private entities in revitalizing and ensuring the sustainability of local declining citi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