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스마트 디클라인 시각에서 본 한국 축소도시 도시기본계획 평가/Comprehensive Plan Assessment of Korean Shrinking Cities Toward Smart Decline
저자명 이숙진(Lee, Sukjin) ; 임영빈(Im, Youngbin) ; 안지현(Ahn, Jihyun) ; 박윤미(Park, Yunmi)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4 No.6(통권 제120호)
페이지 pp.183~202
ISSN 15980650
주제어 스마트 디클라인; 축소도시; 인구감소도시; 도시기본계획; 계획평가 Smart Decline; Shrinking Cities; Depopulating Cities; Comprehensive Plan; Plan Quality Evaluation
요약1 이 연구는 한국의 인구감소도시들이 ‘스마트 디클라인(smart?? decline)’?? 전략을 도시기본계획에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전 문헌에서 파생된 스마트디클라인전략 39개를사용하여 디클라인 전략 점수(Decline?? Strategy?? Score,?? DSS)를 만들어 55개의 인구 감소 도시의 DSS를 분석하였다.?? DSS점수는 각 해당 도시의 인구 감소 경향,?? 인구 규모,?? 계획 목표와 기준 연도,?? 그리고 계획 부문을 기반으로 그 차이가 있는지 추가적으로 비교분석되었다.?? 부산시는100점 중 64.1점을 획득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다른 도시들의 평균 DSS는 29.5점이었다.?? 인구 감소 패턴 (지속적 vs?? 잠재적 감소)에 대한 그룹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인구가 많고 계획 목표와 기준 연도가 보다 최근인 도시들이 높은 점수를 얻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는 또한 공공 서비스 축소,?? 토지이용 및 용도의 조정,?? 주민 재배치,?? 토지 은행구축,?? 빈집 관리와 같은 특정 스마트 디클라인 전략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음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구감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필수 계획 도구에 대한 국가 수준의 권고등을 마련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며,?? 도시 축소 문제를 직면한 다른 국가들 역시 제시된 DSS?? 개발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그들의 특정 지역 특성과 우선 순위에 맞게 적용함으로써 인구감소에 대응하는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This study examined how depopulating municipalities in South Korea have incorporated smart decline strategies into their comprehensive plans. The evaluation of a decline strategy score (DSS) was developed with 39 assessment criteria derived from previous literature. The DSSs of 55 depopulating cities were compared based on depopulation trend, population size, plan target and base year, and plan categories. The city of Busan obtained the highest score of 64.1 out of 100, while the average DSS for other cities was 29.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depopulation patterns (continuous vs. latent decline). However, cities with larger populations and more recent plan targets and base years tended to have higher scores. The study also found that certain smart decline strategies, such as reducing public services, adjusting land use/zoning, relocating residents, establishing land banking, and managing vacant housing, were rarely observed in the examined municipalities. These observations could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national-level recommendations regarding essential planning tools that can effectively adapt to depopulation. Moreover, other countries facing urban shrinkage could benefit from tailoring the process of DSS development to their specific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rioriti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