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거주민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특성 분석 : 2019년 경기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와 가로경관 이미지를 활용하여/Analysi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ffecting the Residents’ Depression :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9 and Street View Image in Gyeonggi Province, Korea
저자명 남예인(Nam, Yein) ; 이수기(Lee, Sugie) ; 이은영(Lee, Eun Young) ; 김유미(Kim, Yu-Mi)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4 No.6(통권 제120호)
페이지 pp.165~182
ISSN 15980650
주제어 우울; 근린환경; 거리뷰 이미지; 의미론적 분할 기법; 지역사회건강조사 Depression; Neighborhood Environment; Street View Image; Semantic Segmentation; Community Health Survey
요약1 한국 성인 우울장애 유병률은 20년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왔으며,?? 오늘날 많은 현대인이 우울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거주민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거주민의 관점에서 측정한 근린환경 특성이 실제로 거주민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제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9년 경기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와 네이버 거리뷰 이미지를 활용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 및 가구 특성은 물론 행정동 수준의 사회적 환경과 근린환경 특성은거주민의 우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린환경 중 도로 비율,?? 하늘 비율,?? 녹지 비율과 같은 가로경관 특성도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울과 같은 지역주민의 정신건강과 근린환경 특성과의 관계를 도출하여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요약2 The rate of depressive disorders in Korean adults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past 20 years, and many people are now experiencing depression. This study analyzed the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ffecting residents’ depression.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measur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s,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residents’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lso seek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e analysis used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utilized data from the Gyeonggi-do Community Health Survey 2019 and Naver Street View image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as well as social environment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were strongly related to residents’ depression. In addition, streetscape characteristics such as road ratio, sky ratio, and greenery ratio i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were also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r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