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공간적 형평성과 효율성 개념에 근거한 초등돌봄시설의 입지 평가 연구 - 2019~2022년 서울시 우리동네키움센터를 중심으로/Location Assessment of Elementary Childcare Facilities based on the Concepts of Spatial Equity and Efficiency - Focused on Our Neighborhood Kium Centers in Seoul from 2019 to 2022
저자명 조해송(Jo, Hae Song) ; 김충호(Kim, Chung Ho)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4 No.6(통권 제120호)
페이지 pp.149~164
ISSN 15980650
주제어 초등돌봄시설; 공간적 형평성; 공간적 효율성 Elementary Childcare Facilities; Spatial Equity; Spatial Efficiency
요약1 핵가족화, 맞벌이 가구 증가 등 양육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초등학생 돌봄시설에 대한 사회적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역 중심의 돌봄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시는우리동네키움센터의 확충을 통해 초등돌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조성된 서울시 우리동네키움센터를 대상으로 입지기준에 따른 적정성을 분석하고,?? 공간적 형평성과 효율성 지수를 바탕으로 지니계수와 로렌츠 곡선,?? 그리고 사분면 분석을 통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초등돌봄시설의 입지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보건복지부와 서울시에서 권장사항으로 제시하는 모든 입기기준에 적합하게 입지한 우리동네키움센터는 27.16%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돌봄시설은 현재까지 서울시 전역에서 공간적 형평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입지하였으나,?? 지속적인 공급에도 불구하고 공간적 효율성은 개선되지 않았다.?? 셋째,?? 초등돌봄시설은 자치구별 및 행정동별 사분면 분석을 통해 공간적 형평성과 효율성이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돌봄시설의 공간적 형평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분석의 틀 제시와 함께 향후 정책적 의사결정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요약2 The social demand for elementary children’s care facilities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the childcare environment, such as nuclear familyization and the increase in dual-income households. In response, the government is establishing a community-centered care system, and the City of Seoul in particular is actively promoting a project to resolve blind spots in elementary care through the expansion of Our Neighborhood Kium Centers. This study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Seoul’s Our Neighborhood Kium Centers built to date based on location criteria, and evaluated the location of elementary childcare facilities from 2019 to 2022 through Gini coefficient, Lorenz curve, and quadrant analysis based on spatial equity and efficiency index. As a result, first, 27.16% of Our Neighborhood Kium Center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ly located according to all location criteria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cond, elementary childcare facilities across Seoul have been located in a direction of increasing spatial equity, but spatial efficiency has not improved despite the continuous supply. Third, elementary childcare facilities were evaluated for spatial equity and efficiency through quadrant analysis at the neighborhood and district level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provide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spatial equity and efficiency of elementary childcare facilities and suggests a framework for future policy decision-making.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