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자원순환형 도시정원 조성을 위한 의사결정 요인/Decision-making Factors for Urban Gardening to Support Resource Cycling
저자명 정상규(Jeong, Sang-Kyu) ; 김난영(Kim, Nan-Young) ; 반영운(Ban, Yong-U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4 No.6(통권 제120호)
페이지 pp.129~148
ISSN 15980650
주제어 도시정원; 자원순환; 의사결정 요인; 순환경제; 동시출현 네트워크 Urban Garden; Resource Cycling; Decision-making Factors; Circular Economy; Co-occurrence Network
요약1 이 연구는 청주시의 도시정원 사례들을 대상으로 자원순환 촉진을 위해 고려해야 할 의사결정 요인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현장 조사된 도시정원 구성요소들의 속성과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모든 사례들에서 상수를 관개용수로 사용하여 자원순환을 위해 빗물 및 중수 활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도시정원 조성과정에서 외래종 유입 우려로 토착 생물종의 다양성을 고려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시용 정원들의 경우에 전시 종료 후에 시설재들과 식재식물의 처리와 재활용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시설재의 주 재료인 목재와 합성수지의 경우에는 폐기물 감축을 유해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재료 사용으로 재활용률을 높이고 대체재료 및 토지 피복작물 적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식재 식물로 초본류가 주류를 이루어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다년생식재 식물 적용을 고려해야 한다.?? 이 연구 성과를 토대로 기존 도시정원에 비해 개선된 환경,?? 경제,?? 사회적 효과로 폐기물 및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순환경제 기반의 도시정원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decision-making factors to promote resource circulation in urban gardens, focusing on the cases in Cheongju City. Using the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method, the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of urban garden components surveyed on-site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considerations for rainwater and reused water usage need to be addressed to promote resource cycling, as tap water was used for irrigation in all cases. In the process of urban gardening, decisions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indigenous species should be made due to concerns about the influx of invasive species. For exhibition gardens, post-exhibition considerations should include handling and recycling strategies for facility materials and planted vegetation. For major facility materials such as wood and synthetic resins,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recycling rates by using materials without harmful substances, exploring alternative materials, and applying ground cover crops. For planted vegetation, primarily consisting of herbaceous plants, organic waste treatment and recycling strategies should be devised,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perennial pla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urban gardening based on circular economy principles, resulting in improved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effects compared to existing urban gardens, can contribute to waste reduction and carbon emission mitigation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