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천식진료지침에 따른 숙주인자와 환경인자를 고려한 천식취약지역 도출 연구 - 서울시 426개 행정동의 9개 취약요인 데이터를 중심으로/Research on Identifying Asthma Vulnerable Areas Considering Host and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Asthma Treatment Guidelines - Based on Data of 9 Vulnerable Factors in 426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저자명 배웅규(Bae, Woongkyoo) ; 전림비(Tian, Linfei)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4 No.6(통권 제120호)
페이지 pp.111~128
ISSN 15980650
주제어 도시미기후; 환경성질환; 천식; 취약지역; 건강; 환경인자 Urban Microclimate; Environmental Diseases; Asthma; Vulnerable Areas; Health; Environmental Factor
요약1 오늘날 이상기후로 직간접적인 피해가 누적되고 있으며,?? 특히,?? 미기후 악화에 따른 천식,?? 비염,?? 아토피피부염 등 환경성 질환자 수와 의료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서울시 행정동을 대상으로 21년 3월부터 23년 2월까지 총 9개 지표를 활용하여 천식과 다른 악화요인의 상관성 및 여러 지표 사이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며 서울시 천식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천식과 선정된 지표들 간에는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노령인구가 제일 큰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회귀 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천식에대한 노령인구 및 20년이상 노후건축물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서울시 천식 취약지역 도출결과,?? 미세먼지 및 온도의 영향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구와경제특성 등 지표들이 높은 지역일수록 높은 취약성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천식 취약지역의행정동 단위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천호동,?? 당산동 등 10개 지역의 취약성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천식에 악화 인자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천식 취약지역 등급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시민의 건강을 고려하는 도시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요약2 In recent years, direct and indirect damage is accumulating due to abnormal weather caused by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iseases such as asthma and the medical burden are increasing due to the worsening microclimate. This study uses a total of 9 indicators from March 2021 to February 2023 targeting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asthma and other aggravating factors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indicators to derive asthma vulnerable areas in Seoul.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asthma and the selected indicators, with the largest effect in the elderly population.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elderly population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asthma. Third, as a result of deriving asthma vulnerable areas in Seoul, areas with higher indicators such as population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have a higher vulnerability.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study on asthma vulnerable areas, 10 areas, including Cheonho-dong, showed the highest vulner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s urban management considering citizen’s health by specifically analyzing the aggravating factors in asthma and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sthma vulnerable area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