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의 유형별 특성 - 서울시 모아타운 1차 선정지역을 중심으로/Characteristics of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Management Area by Type - Focused on the Primary Selection Areas of Moa-Town in Seoul
저자명 권익현(Kwon, Ik-Hyun) ; 정도훈(Jung, Do-Hun) ; 유석연(Yoo, Suk-Ye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4 No.6(통권 제120호)
페이지 pp.93~110
ISSN 15980650
주제어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모아타운; 지역특성; 유형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Management Area; Moa-town; Regional Characteristics; Type
요약1 최근 도입된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에는 기존 정비사업에서 제기되었던 거주자 특성 반영미흡,?? 사회ㆍ경제적 여건 고려 미흡 등 다양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특성을 고려한관리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모아타운 1차 선정지역 38개소를 대상으로 지역특성 지표를 활용하여 유형화를 진행하고,?? 유형별 특성을 도출한 후,?? 유형별 사례대상지를 실증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모아타운 대상지의 유형 구분을 위해 토지이용,?? 가로 및 필지,?? 지형,?? 건축물,?? 기반시설,?? 사회,?? 경제등 7개의 영역에 걸쳐 19개의 지역특성 지표를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지표 중 평균 공시지가,?? 노후주택의 용도별 비율,?? 역세권 면적 비율 등 기반시설 비율,?? 주거ㆍ직장인구의 연령층별비율 등 총 26개 세부 지역특성 지표에서 유형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서울시 모아타운 1 차 선정지역은 ‘청년층 비율이 높고 노후공동주택이 혼재된 공동주택 밀집지역’,?? ‘청소년층 비율이 높고 근린생활시설이 혼재된 역세권 인접지역’,?? ‘노년층 비율이 높은 노후단독주택 밀집지역’?? 등 총 3가지의 상이한 특성을 가진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요약2 In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management areas, which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agement plan that considers various lo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38 primary selection areas of Moa-Town in Seoul us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dicators, to derive characteristics by type, and to draw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case sites by typ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classify the types of Moa-Town, 19 regional characteristic indicators in 7 categories, such as land use, streets/lots, topography, building types, infrastructure, social aspects, and economical aspects, were derived. Second, a total of 26 regional characteristic indicators among them showed differences between types. Third, the selected areas for the first phase of Moa-town a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Densely populated areas with a high proportion of young people and a mixture of old-age housing complexes’, ‘Areas adjacent to the station area where the ratio of youth is high and neighborhood facilities are mixed’, and ‘Densely populated areas of old detached houses with a high proportion of older peopl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