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 따른 서울 n분 도시 현황 및 특성 연구 - 지역생활서비스시설의 연령대별 공급과 수요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minute City in Seoul using Pedestrian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Local Living Service Facilities by Age Group
저자명 이해빈(Lee, Hae Bin) ; 김충호(Kim, Chung Ho)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4 No.5(통권 제119호)
페이지 pp.51~70
ISSN 15980650
주제어 n분 도시; 15분 도시; 보행일상권; 지역생활서비스시설; 연령대; 보행 네트워크 분석 n-minute City; 15-minute City; Daily Walking Area; Local Living Service Facility; Age Group; Pedestrian Network Analysis
요약1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n분 도시의 개념이 국내에 도입되는 상황에서,?? 서울시의 n분도시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5분을 기준으로 유아,?? 청소년아동,?? 성인,?? 노인의 연령대를 고려하여 주차장을 제외한 지역생활서비스시설의 보행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자치구 및 지역생활권 단위의 공급현황 및 수요현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는모든 연령대에서 15분 도시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유아와 노인에 대해 매우 미달하였다.?? 둘째,?? 서울시의 대부분 지역은 15분 도시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서북권역과 동남권역에대해 매우 미달하였다.?? 셋째,?? 서울시가 15분 도시에 도달하지 못한 것은 시설의 부족한 공급과함께 비효율적 입지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n분 도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소단위수준의 다양한 보행시간 설정이 필요하며,?? 지역생활서비스시설의 추가공급시 우선 고려대상을시사점으로 제안한다.
요약2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minute city in Seoul, following the domestic introduction attempts of the global discussion around n-minute city. Based on 15 minutes, the pedestrian network analysis considering four age groups of infants, adolescents, adults, and seniors was conducted for the local living service facilities, excluding parking lots.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the autonomous districts and the local living areas were reviewed. As a result,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ll age groups did not reach the n-minute city, especially infants and seniors. Second, most of the areas in Seoul did not reach the n-minute city, especially in the northwest and southeast districts of Seoul. Third, the reasons why they did not reach the n-minute city were due to insufficient supply and inefficient location of facilities. Finally, the study suggests, in order to achieve the n-minute city in Seoul, that various walking times be set up at the small-scale level and priority targets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faciliti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