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초ㆍ중ㆍ고등학교로의 교통 접근성 불균형 분석- 우리나라 전역을 대상으로/Analyzing Inequality in Accessibility to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저자명 이상완(Lee, Sangwa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3 No.6(통권 제114호)
페이지 pp.151~164
ISSN 15980650
주제어 교통 평등 관점; 접근성; 불균형; 교육시설; 전국 데이터 분석 Transportation Equity Perspective; Accessibility; Inequality; Educational Institution; Nationwide Analysis
요약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ㆍ중ㆍ고등학교의 불평등한 교통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교통연구원의 교통 접근성 지수에 Gini?? Index/Theil?? Index/Population-weighted?? Theil??Index와 Getis-Ord?? Gi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농촌 지역의 거주민들은 초ㆍ중ㆍ고등학교로의 소요 시간이 도시부의 거주민들에 비해 대략 30?? 여분 이상 긴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차량 접근성이 낮은 읍면동일수록 대중교통 접근성도 낮았으며,?? 초등학교로의접근성이 낮은 읍면동은 중ㆍ고등학교로의 접근성 또한 낮았다.?? 셋째,?? 서울 및 수도권의 경우2017년 대비 2019년의 교육시설로의 교통 접근성이 더욱 좋아진 읍면동이 집적되어 있었으나,??농촌 지역은 교육 접근성 불균형이 심화되었다.?? 넷째,?? 대중교통 접근성 불균형 정도가 차량 접근성 불균형에 비해 상당히 높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의 교육기관에 대한 접근성에 대한종합적인 공간적 및 형평성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정책적 과제 및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요약2 This study examined the inequal accessibility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s in South Korea. This study employed Gini index, Theil index, andPopulation-weighted Theil index as well as Getis-Ord Gi model using accessibilitydata from Korea Transport Institute. The following are several key conclusions. First, the travel time required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r residentsin rural areas was about 30 minutes longer than those in urban areas. Second,Eup/Myeon/Dongs (EMDs) with lower vehicle accessibility also had lower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EMDs with lower access to elementaryschool also had lower access to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while EMDs inthe Seoul Metropolitan area improved accessibility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in2019 compared to 2017, EMDs in rural area indicated a worsening of theaccessibility inequality. Fourth, the degree of inequality in accessibility to publictranspor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access to vehicles. This researchcontributes to (1) presenting a comprehensive spatial and equity analysis ofaccessibility to educational institutions throughout South Korea, and (2) offeringpolicy implication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