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에서 공동체 활성화 요소의 단계별비교/Stagewise Comparative Analysis of Community Revitalization Factors in Neighborhood-Orien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저자명 김동현(Kim, Dong-Hyeon) ; 장경희(Jang, Kyung-Hee) ; 오재만(Oh, Jae-Man) ; 황재훈(Hwang, Jea-Ho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3 No.6(통권 제114호)
페이지 pp.139~150
ISSN 15980650
주제어 사회적 경제; 공동체 활성화; 마을관리; 사회적 협동조합; 도시재생 Social Economy; Community Revitalization; Village Management; Social Cooperatives; Urban Regeneration
요약1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공동체 활성화 요소의 단계별 차이를 연구하기 위해 전국의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 대상지 중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이 설립된 13개 지역을 선정하였다.??그리고 공동체 활성화 요소의 중요도와 경험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첫째,?? AHP?? 분석 결과,?? 단계별 중요도 비교에서 담당자들은 원활한 사업추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조합 임원들은단계에 따른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요소를 중요하게 인식했다.?? 둘째,?? 조합 임원들의 IPA분석 결과에서 계획수립 단계에서는 소속감보다 주민참여율 유지에 노력을 기울이고,?? 설립인가단계에서는 원활한 사회적 상호작용과 소통을 위한 교류의 장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업시행 단계에서 주민참여와 소속감보다 소통의 경험도를 높이기 위해 조합원 간 정보 공유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더 나은 결론 도출을 위해 여러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속적인 조사와 공동체 활성화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요약2 This research selected 13 regions where village management social cooperativeswere established in the neighborhood-orien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cross thecountry to study the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community revitalization in urban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importance and experience of community revitalizationfactors were surveyed. First, AHP analysis result, in stagewise importancecomparison, those in charge are focused on smooth projects promotion, and thecooperative executives recognized the problems in each stage and the factors tosolve them. Second, a result of IPA analysis of cooperative executives shows thatthe planning stage puts more effort into maintaini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raterather than a sense of belonging, and the establishment authorization stage needs aplace for exchange for smooth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inthe project implementation stage, a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mong cooperativemembers should be established to increase the experience of communication ratherthan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a sense of belonging. Finally, further research isneed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ntinuous surveys and community revitalizationfactors in variou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o draw better implication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