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랜덤 포레스트 모형을 활용한 청년들의 주택 유형별주거환경 만족도 영향 요인 중요도 분석? 주거실태조사(2020) 데이터를 활용하여/Variable Importance Analysis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Factors in Young Adults’ Housing Types in Seoul City Using the Random Forest Model - Using the Korea Housing Survey (2020) Data
저자명 임다혜(Yim, Da-Hye) ; 권영상(Kwon, Young-Sang)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3 No.6(통권 제114호)
페이지 pp.103~122
ISSN 15980650
주제어 청년 주택; 근린환경; 주거환경 만족도; 랜덤 포레스트; 머신 러닝 Young Adults’ Housing; Neighborhood Environment; Residential Satisfaction;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요약1 본 연구는 청년 주거환경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청년들의 주택 유형별(다세대ㆍ다가구,?? 오피스텔,?? 아파트)로 주거환경 만족도와 관련된 요인들의 중요도를 랜덤 포레스트 모형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세대ㆍ다가구 유형에서는 주택의 위생 수준과 대중교통 접근성,?? 오피스텔 유형에서는 근린의 소음과 공공기관 접근성,?? 아파트 유형에서는상업시설 접근성과 주차 편의가 중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유형 간 공통적인 특징은 개별 건물형태인 다세대ㆍ다가구와 오피스텔에서는 근린의 범죄안전과 대기오염이 중요 요인으로 파악되었고,?? 용도지역상 주거지역에 위치한 아파트,?? 다세대ㆍ다가구는 문화시설 접근성이 중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모든 유형에서 공통 요인으로는 주택 만족도,?? 의료시설 접근성,?? 교육환경,?? 이웃간 신뢰,?? 보행안전이 중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향후 도시의 청년 주택 공급과 주거환경개선시 주택 유형과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주거환경 요소들을 다르게 접근해야 함을 의미한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elements byhousing type(multi-detached, studio, apartment complex) using random forest model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for young adults. The analysis resultsare as follows. In multi-detached housing type, sanitation level of house andaccessibility of housing environment were important. In studio type(so-called‘Officetel’ in Korea), neighborhood noise and accessibility of public institution wereimportant. In apartment complex type, accessibility to commercial facilities andparking conveniences were important. Important elements by broader categories werededucted as the following; neighborhood crime safety and air pollution in individualbuilding type(multi-detached house and studio) and accessibility to cultural facilitiesin residential land use type(multi-detached house and apartment complex). In allhousing types, important factors were house satisfaction, accessibility to medicalfaciliti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rust between neighbors, and pedestriansafety. This implies tha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lements should be dealtdifferently by housing type and land use in supplying housing for young adults and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