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이용자의 감성평가와 러프집합을 이용한 비주거용도시형 한옥 입면에 관한 실증연구- 익선동 한옥보전구역의 비주거용 한옥을 중심으로/An Empirical Study on the Facade of Non-residential Urban-style Hanok Using User’s Sensibility Evaluation and Rough Set - Focused on Non-residential Hanok in Ikseon-dong Hanok Conservation Area
저자명 김다혜(Kim, Da-Hye) ; 양승우(Yang, Seung-Woo)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3 No.6(통권 제114호)
페이지 pp.37~52
ISSN 15980650
주제어 도시형 한옥; 입면구성요소; 이용자 감성평가; 러프집합 Urban-style Hanok; Facade Components; Sensibility Evaluation of Users; Rough Set
요약1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한옥 같다고 인식하는 비주거용 도시형 한옥 입면의 범주를 확인하고,??이용자가 한옥 같다고 인식하게 하는 결정 요소를 도출했다.?? 이를 위해 익선동 한옥보전구역을대상으로 입면 사진 데이터를 제작하고 군집분석과 이용자 감성평가,?? 분산분석을 통해 이용자가한옥 같다고 인지하는 범주를 도출했다.?? 그리고 러프집합의 축약과 의사결정규칙을 도출해 이용자가 한옥 같다고 인지하는데 결정 요소로 작용한 요소를 도출했다.?? 연구?? 결과 비주거용 도시형한옥이 처마가 노출된 상태에서 새로운 입면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고 기존 입면을 최대한 유지하는 규칙을 따를 때 이용자들은 이를 명확하게 한옥 같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면이변형되는 경우에는 최대한 기존 입면의 형태를 남겨두거나 한옥의 목조기둥 전체가 온전히 노출되어 한옥의 주요?? 구조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입면이 구성되면 이용자는 이를 명확하게 한옥같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2 This study identified the category of non-residential urban-style Hanok facade thatusers perceive as ‘like a Hanok’ and derived determinants that make users perceive itas a Hanok. To this end, facade Photo data was produced for the Ikseon-dong HanokConservation Area, and a category that users perceive as Hanok-like was derivedthrough cluster analysis, user sensibility evaluation, and analysis of variance. Inaddition, through the ‘reduct’ and rule induction of the Rough set, the determinantsthat make users recognize Hanok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study, whennon-residential urban-style Hanok follows the rules of maintaining the existing facadeas much as possible without installing a new facade structure while the Cheoma areexposed, users clearly recognize them as Hanok. When the facade is transformed, itwas found that if the existing facade form was left as much as possible, the userclearly recognized it as a Hanok. Alternatively, when the facade of a Hanok istransformed, the entire wooden pillar is completely exposed and the main structure ofthe Hanok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user clearly recognizes it as a Hanok.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