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로컬 브랜딩을 활용한 커뮤니티 재생계획 - 4.19사거리 일대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Community Revitalization Plan Using Local Branding Strategy - Focused on the Urban Revitalization Project Area of the 4.19 Intersection
저자명 송기황(Song, Ki-Hwang) ; 박태원(Park, Tae-W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3 No.5(통권 제113호)
페이지 pp.57~72
ISSN 15980650
주제어 로컬 브랜딩; 브랜드 위계; 커뮤니티 비즈니스; 장소마케팅; 장소성 Local Branding; Brand Hierachy; Community Business; Place Marketing; Placeness.
요약1 지역의 장소성 강화와 방문경제의 실현을 위한 도시재생의 방법으로,?? 지역 자원을 활용한 로컬 브랜딩에 관한 연구를 4.19도시재생 활성화 구역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브랜드 계층구조이론을 도시재생사업의 로컬 브랜드 체계에 접목하여 구조화하고,?? 지역 자원과 다양한 커뮤니티기반 콘텐츠의 브랜드 가치를 거주민과 방문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브랜드체계를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첫째 4.19민주묘지와 북한산을 중심으로 분포된 자연ㆍ생태ㆍ 역사 자원 등의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커뮤니티 브랜드’를 설정하였다.?? 둘째 권역별 특성과 주제를 반영한 ‘장소 테마 브랜드’를 구성하였다.?? 셋째 각각의 장소 자원과 유ㆍ무형의 프로그램을 반영한 ‘로컬 콘텐츠 브랜드’를 설정하였다.?? 넷째 지역 커뮤니티에 의한 브랜드 연계 및 부가 가치를 이끌어내는 ‘브랜드 확장’의 단계를 통해 로컬 브랜딩의 계층구조를 설정하여 각 위계별 브랜드 전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계층화된 도시재생 사업의 로컬 브랜드는 지속적인 주민참여에 의한 의미의 확장,?? 범용성 등의 확보를 통해 지역 여건의 변화에 대응하고,?? 꾸준한 소통과 진화를 통해서 지역 브랜드의 가치를 지속시켜야 할 것이다.
요약2 As an urban regeneration strategy to strengthen a sense of place and improve the tourism economy, we studied local branding strategy utilizing local resources for the 4.19 Urban Revitalization Area. We adopted the hierarchical theory to operationalize the local branding strategy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n, we proposed a branding structure delivering the brand value of local resources and various community-based contents to residents and visitors.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twofold. First, we established a ‘Community Brand’ focusing on the core values such as natural, ecological, and historical resources around the ‘April 19th National Cemetery’ and ‘Bukhan-Mountain.’ Second, we proposed a ‘Place-Themed Brand’ reflecting each region’s characteristics and themes. Third, we introduced the ‘Local Contents Brand’ reflecting local resources that led to a wide range of programs, includ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erforming arts, and community festivals. Finally, in the stage of 'Brand Expansion,' we intended to link each local branding strategy through a hierarchical structure in order to add value to the local communities. The hierarchical local branding strategy requires continuous updates from citizen participation and the change in social, physical, and political changes. In this way, the local branding strategy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can help elevate the value of local brand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