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산업 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 구성 및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Industry-specific Co-working Space
저자명 김현준(Kim, Hyun-Joon) ; 서유강(Seo, Youkang) ; 권영상(Kwon, Young-Sang)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3 No.5(통권 제113호)
페이지 pp.19~38
ISSN 15980650
주제어 코워킹 스페이스; 공간 구성 분석; 입지특성 분석; 산업특화형 Co-working Spaces; Spatial Composition Analysis; Loc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Specific Industry
요약1 본 연구는 산업 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 구성 및 입지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산업 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구성 및 입지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시의 사례 5 곳을 연구범위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 특성은 첫째,?? “업무 공간 =?? 커뮤니티 공간 >?? 서비스 공간”?? 순으로 공간구성 비율을 보였다.?? 둘째,?? 다목적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접근성이높으며,?? 네트워크 관계가 깊게 유지된다.?? 입지특성은 첫째,?? 입지 결정요인은 동종업종 집적 여부,?? 교통 편리성,?? 인근 시장 인프라,?? 인근 문화시설 인프라,?? 지역 특수성,?? 입주 건물의 특화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업무 밀집 지역의 중요도가 감소하는 반면,?? 주변 문화시설,?? 공공시설,?? 오픈스페이스의 중요도가 증가하여 입지 결정요인의 패러다임이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industry-specific co-working spaces. To this end, five relevant spaces in Seoul were chosen. The findings on the spatial charateristics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the space composition ratio, it was found to be in the following order : work space = community space > service space. Second, they were highly multipurpose. Third, they showed high accessibility and deep network relationship. When it comes to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first, location determinants were found to include the clustering of same business lines, transportation convenience, nearby markets, adjacent cultural facilities, regional specificity and unique features of the bulidings in which co-working spaces moved.Second, a paradigm shift in location determinants was observed: while the importance of the areas with high density of offices is decreasing, that of surrounding cultural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and open space is increasing.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