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지역 유형에 따른 건축자산의 특징 - 충청북도 거점도시와 주변도시를 중심으로/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Assets According to Regional Type - Focusing on Hub Cities and Surrounding Cities of Chungcheongbuk-do
저자명 강민경(Kang, Min-Kyung) ; 안대환(An, Dai-Wha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3 No.4(통권 제112호)
페이지 pp.129~144
ISSN 15980650
주제어 거점도시; 주변도시; 지역적 특성; 건축자산 특성; 청주시; 충주시; 단양군; 옥천군 Hub City; Surrounding Citiy; Regional Characteristics; Architectural Asset Characteristics; Cheongju-si; Chungju-si; Danyang-gun; Okcheon-gun
요약1 본 연구는 건축자산의 활용 및 보존 방안 모색 시 지역 유형을 반영해야한다는 것에서 시작했다.?? 양극단 지역 유형에 따라 건축자산을 분류하고,?? 나아가 지역 유형에 따른 보존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상은 충청북도의 거점도시인 청주시와 충주시,?? 주변도시인 단양군,?? 옥천군의 건축자산이다.?? 지역 유형에 따른 보존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충청북도거점도시와 주변도시의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별 건축자산의 특징을 파악했다.?? 결과적으로 첫째,?? 충북 거점도시의 건축자산은 교육시설과 종교시설의 비중이 높고,?? 주변도시는 산업시설의 비중이 높다.?? 둘째,?? 거점도시 내 교육시설 건축자산은 다양한 규모로 분포하고,?? 주변도시의 교육시설건축자산은 대체로 규모가 작다.?? 셋째,?? 공통적으로 교육시설 건축자산은 사회문화적 가치가 부여됐으며,?? 대체로 해방 이후부터 1980년 이전에 건립됐다.?? 따라서 지역 유형에 따라 같은 유형의 건축자산일지라도 서로 다른 특성이 나타나므로,?? 본 연구를 통해 거점도시와 주변도시 건축자산의 보존 및 활용방안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모색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요약2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dea that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reflected when we seek the ways to utilize and preserve architectural assets. The study aims to classify architectural assets according to the two regional types with the extrem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to find ways to preserve and utilize them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the architectural assets of Cheongju and Chungju as hubs cites, and Danyang-gun and Okcheon-gun as surrounding cities of Chungcheongbuk-do. In order to search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b cities and surrounding cities in Chungbuk were ident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architectural asset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in the building assets of the hub cities of Chungbuk, the propor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religious facilities was relatively high, and the proportion of industrial facilities in surrounding cities was relatively high. Second, the architectural assets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hub cities of Chungbuk were distributed in various sizes, and the architectural assets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surrounding cities of Chungbuk were generally small. Third, in common, the architectural assets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Chungbuk were given socio-cultural values, and were generally built after liberation before 1980.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ploring ways to preserve and utilize architectural assets in the hub cities and surrounding citi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