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대형공원으로서 용산공원의 도시 연결성 향상 전략/The Design Strategies to Enhance Urban Connectivity of Yongsan Park
저자명 최혜영(Choi, Hyeyoung)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3 No.1(통권 제109호)
페이지 pp.69~88
ISSN 15980650
주제어 대형 도시 공원; 공원의 경계부; 도시의 자기장; 용산공원 Large Urban Park; Park Interface; Urban Magnet; Yongsan Park
요약1 본 연구는 장기간 주변 도시 조직과 단절되었던 용산 미8군 기지를 공원으로 조성함에 있어주변 도시와 상생할 수 있는 공원의 경계부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정부 주도의 국가 도시공원으로 추진되고 있는 용산공원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2012년 국제 설계 공모 이후 당선작에서 발전시킨 기본설계 및 공원조성계획안 중 공원의 출입 및 경계부 전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약 11킬로미터에 달하는 공원 경계와 접한 도시의 물리적 특성과 성격을 분석하여 여덟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적합한 공원 경계부를 제안했다.?? 도시의 주요 보행로가 공원과만나는 결절점에는 위계가 다양한 상징적,?? 기능적 나들문을 두었다.?? 또한 도시에 부족한 주민프로그램 공간이 마당의 형태로 제공되어 도시와 공원을 비물리적으로 연결하기도 한다.?? 본 경계부 계획안은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높은 대형 공원 조성 과정에서,?? 변화해 나가는 서울시 도시계획 및 공원 주변부 관리 계획과의 정합성 향상을 위해 도시의 성장과 재생을 견인하는 도시의 자기장으로써의 공원이라는 주요 개념을 유지하되 확정적이기 보다 유연하고 유동적으로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요약2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range of park-city interface design strategies using Yongsan Park, the first national urban park in Korea, as a case study. This initiative was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n a site previously used as the Yongsan Military Base, which had been disconnected from the adjacent urban fabric for a long time. The analysis focused on the schematic level design for the park entrance areas and interfaces as proposed between 2012 to 2018, followed by the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By analyz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ies of the adjacent urban areas along the park boundary of approximately 11 kilometers, a set of eight park-city interface types was proposed. Various interface design strategies were suggested that could support community programs, and enhance connectivity with the city, including the key entrance areas. In the process of creating large parks with high complexity and uncertainty, the design proposal was meaningful in that it was proposed to be flexible and fluid rather than definitive, maintaining the concept of the park as an urban magnet, a driver for urban growth and regeneration. This study will be also important as part of the initial design materials to be leveraged on a practical level for collaborating wit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o improve the congruence with the city plan and the management plan of the park’s surrounding area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