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재난재해 대응 도시재생사업 제도개선을 위한 도시 재생활성화계획 실태분석/An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Plan for the System Improve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Response to Disaster Accidents
저자명 김다솜(Kim, Da-Som) ; 조병호(Cho, Byung-Ho) ; 박미규(Park, Mi-Kyu)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6(통권 제108호)
페이지 pp.161~180
ISSN 15980650
주제어 복합재난, 도시재생사업, 평가항목, 도시재생뉴딜사업지구,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요약1 쇠퇴지역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대응체계 미흡으로 도시기능의 회복력을 향상시키는 것에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단계에서 재난에 취약한 지역에 대해 재난대응사업들이 세부적으로 계획되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 특별법과 재난재해관련 법ㆍ제도의 내용과 한계점을 먼저 분석하였으며 재난에 대한 범위를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설정하여 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요소들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계획수립 단계에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쇠퇴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도시재생측면에서 대응 요소들도 도출하였다.?? 평가항목은 전문가 델파이 분석으로 통해 도출했으며,?? GIS?? 공간데이터 중첩분석을 통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중 재난에 취약한 지역을 27곳을 도출하여 실태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27개의중첩지역 중 22개(약 81%)의 지역이 재난관련 사업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계획수립단계에서 재난대응에 대한 기초조사와 재난대응 사업의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단위사업내용분석결과 영향을 받는 재난유형과 제시된 재난관련 사업과의 연관성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쇠퇴지역에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충분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을 위한 제도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요약2 In declining areas,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the resilience of urban functions due to insufficient response systems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is study aims to confirm whether disaster response projects are planned in detail for areas vulnerable to disasters in the stage of establishing urban rehabilitation plans. To this end,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of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and the laws and systems related to disaster disasters were first analyzed, and the scope of disasters was set as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nd classified as factors that could be affected. In addition, to evaluate the decline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areas in the planning stage, response factors were derived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The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through expert Delphi analysis, and 27 areas vulnerable to disaster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rough GIS spatial data overlapping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22 of the 27 overlapping areas (about 81%) had no disaster-related pro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unit project,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ed type of disaster and the presented disaster-related projects was somewhat inferior. Through the study, the basic survey on disaster response and the existence of disaster response projects were confirmed at the planning stag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to establish an urban rehabilitation plan so that sufficient response is possible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a declining area.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