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연령별 고령인구의 통행 특성을 고려한 공간 위계별 생활권 분석 - 충청북도 2016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Spatial Hierarchy Analyses of the Zone of Life Reflecting upon Trave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 Focused on the 2016 Chungbuk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저자명 전병윤(Jeon, Byeong-Yun) ; 김규혁(Kim, Kyu-Hyuk) ; 리우 시페이(LIU SIPEI) ; 이만형(Lee, Man-Hyung)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6(통권 제108호)
페이지 pp.129~145
ISSN 15980650
주제어 고령인구, 통행특성, 생활권 분석, 커뮤니티 디텍션
요약1 이 연구는 2016년 기준 충청북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고령인구의 연령별 통행특성을 고려한 공간 위계별 생활권을 분석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연령대별로 초기고령인구(65~69세,?? 70~74세)와 후기고령인구(75세 이상)로 구분하여 통행목적ㆍ수단을 고려하고 커뮤니티 디텍션(Community?? Detection)?? 방법을 적용하여 공간위계별 생활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통근 목적 통행이 주를 이루었으며,?? 중생활권 범위에서 통행량이 가장 많았다.?? 또한,?? 공간 위계가 커질수록 초기고령자와 후기고령자 모두의 생활권 개수가 감소하였다.?? 둘째,?? 행정구역 경계와 관계없이,?? 65세~69세에 해당하는 고령인구의 경우에는 충주시(수안보면)와 제천시(한수면)가 동일한 생활권을 형성하고,?? 70 세~74세 해당하는 고령인구의 경우에는 청주시(북이면)와 증평군(증평읍)이 하나의 생활권을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75세 이상 고령인구의 경우에는 진천군(광혜원면)과 음성군(대소면)이같은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도시ㆍ지역계획 측면에서 고령친화형 공간계획을 수립할 때에 연령별 고령인구의 특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당위성이 존재한다.
요약2 Applying the 2016 Chungbuk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spatial hierarchy of the zone of life reflecting upon trave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specific, dichotomizing the elderly population into the early elders (60~69 and 70~74) and the later elders (75 or more),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hierarchy of the zone of life matched with their travel types and locations, in addition to travel modes. Its main analytical tools are community detection approache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ainstream of the travel types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65 or more) comes from commuting purposes. The highest travel volume is recorded in the mid-zone of life. Furthermore, as spatial hierarchy rises to a higher level, the number of the zone of life is downsized. Secondly, regardless of the boundaries of the administrative area, the elderly aged 65 to 69 will form the same living area in Chungju (Suanbo-myeon) and Jecheon (Hansui-myeon). Similar trends are repeated in the early elder groups in Cheongju (Bukil-myeon) and Jeungpyeong-eup (Jeonpyeong-eup). The later elders in Jincheon-gun (Gwanghaewon-myeon) and Eumseong-gun (Daeso-myeon) also share the same living area. These results imply that trave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designing elderly-friendly spatial planning.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