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대학가의 보행환경 만족도 영향요인 비교 분석 - 충북대학교 중문의 상업 및 주거밀집지역을 중심으로/Comparativ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Walking Environment in University District - Focused on Commercial and Residential Dominant Areas in Jungmu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저자명 반정환(Ban, JeongHwan) ; 황재훈(Hwang, Jea-Ho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6(통권 제108호)
페이지 pp.87~96
ISSN 15980650
주제어 보행환경, 만족도, 대학가, 요인분석, 회귀분석
요약1 본 연구는 2016년 충북대학교 중문에서 보행환경 개선사업이 시행되었음에도 여러 가지 보행환경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용자들이 중문의 보행환경에 만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어 시작하게 되었다.?? 연구대상지는 충북대학교 중문이며,?? 대학가를 건축물 주 용도를 기준으로 상업 밀집지역과 주거 밀집지역으로 나누었다.?? 연구의 목적은 대학가 내 지역에 따른 전체 보행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보행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은 선행연구에서 빈도수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중문에서의 경험이 있는 충북대학교 학생과 일반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분석방법은 요인분석을 통해 얻은 점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역별로 전체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상업 밀집지역에서는 ‘가로의 쾌적’,?? 주거 밀집지역에서는 ‘가로의 생동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요약2 This study was started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users may not be satisfied with the walking environment of Jungmun due to various problems with the walking environment even though the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was implemented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Jungmun in 2016. The scope of study is nea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Jungmun area. Then, the scope was divided into residential and commercial dominant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ccording to regions within the university district. Items for measuring the walking environment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in previous studi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sers who had experience in Jungmun. As for the analysis metho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core obtained through factor analysi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walking environment by region. Also, the ‘comfort’ in commercial dominant area and the ‘vitality’ in residential dominant area had the greatest impact.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