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코로나19 시기 서울시 공공 공유시설의 이용현황 및 재난 리질리언스 분석 - 공유서울 3기 기본계획 및 기타 운영관리에 따른 6개의 세부사업을 중심으로/Analyzing Usage and Disaster Resilience of Public Sharing Economy in Seoul during COVID-19 - Focused on 6 Main Facilities manag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저자명 공지희(Gong, Ji-Hee) ; 김충호(Kim, Chung Ho)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5(통권 제107호)
페이지 pp.141~160
ISSN 15980650
주제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공유경제; 재난 리질리언스; 이용현황; AHP COVID-19; Sharing Economy; Disaster Resilience; Usage; AHP
요약1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서울시 공공 공유시설의 이용현황 및 재난 리질리언스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공공 공유시설 관련 6개의 세부사업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시기 전후 이용도 변화,?? 재난 리질리언스 구성요소에 대한 AHP?? 분석,?? 현장조사 및 공문 수집,?? 재난 리질리언스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시기 서울시 공공 공유시설은 코로나19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일부 시설(따릉이,?? 나눔카,?? 공구도서관)은 이용도가 오히려 증가한 반면,?? 다른 시설들(서울창업카페,?? 녹색어린이도서관,?? 디지털대장간)은 휴관 등에 의해 이용도가 감소하였다.?? 둘째,?? 서울시 공공 공유시설의 이용자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재난 리질리언스 구성요소 AHP?? 분석 결과,?? 재난리질리언스 구성요소(4R)?? 중 내구성(Robustness)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선택되었다.?? 내구성은거리두기와 관련된 구성요소로서 다른 요소들에 비하여 직접적인 대응방식에 해당된다.?? 셋째,?? 서울시 공공 공유시설의 코로나19?? 대응방식에 대한 재난 리질리언스를 분석한 결과,?? 서울창업카페가 가장 큰 재난 리질리언스를 보였다.?? 하지만 서울창업카페 역시 향후 재난 리질리언스의 향상을 위해서는 신속성에 대한 별도의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초기 위기 및 대응에 대한 기록으로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서울시 공공 공유시설에 대한 실증분석이라는 연구의 가치가 있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and disaster resilience of public sharing facilities in Seou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focused on six main sharing facilities managed by Seoul, analysis on the changes in usage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HP analysis on disaster resilience components, field survey and official documents collection, and disaster resilience analysis. As a result,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ublic sharing facilities in Seoul were affected by COVID-19. Some facilities have increased their usage, while others have decreased due to closures. Second, according to the AHP analysis conducted on users and managers of public sharing facilities in Seoul, robustness was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disaster resilience components(including redundancy, rapidity, resourcefulness). Robustness is a component related to distancing and corresponds to a direct response compared to other components. Third, the Seoul Startup Cafe showed the biggest disaster resili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disaster resilience on the COVID-19 response method of public sharing facilities in Seoul. However, the Seoul Startup Cafe also needs to appropriate interventions to improve disaster resilience in the fu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record of the early crisis and response of the COVID-19 Pandemic as well as empirical analysis of public facilities in Seoul.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