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인구이동 특성을 고려한 축소도시 유형 분석 연구/Analysis of The Type of Shrinking City Considering Migration
저자명 정광진(Jung, Kwangjin) ; 유석연(Yoo, Suk-Ye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5(통권 제107호)
페이지 pp.125~140
ISSN 15980650
주제어 축소도시; 인구이동; 도시정책; 평가기준 Shrinking City; Migration; Urban Policy; Evaluation Standard
요약1 전 세계 많은 도시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저출산ㆍ고령화 현상은 점점 더 심해질 것으로예측된다.?? 이에 따라 축소도시의 개념이 부상하기 시작했으며 국내에서도 관련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째,?? 주로 분석대상의 공간적 범위가 단일도시로 제한되어 주변 지역과의 연계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도시는 주변 지역과의연계를 통해 성장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는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지않기 때문에 도시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둘째,?? 시 지역에 집중하여 군 지역을 누락하였다.?? 군 지역은 시 지역에 비해 인구 감소율이 높고 환경이 열악하므로 군 지역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주로 인구의 증감에만 집중하여 인구의 이동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였다.?? 최근의 저출산 현상은 앞으로 인구의 변화는 자연적 요인 보다 사회적 요인에 더 의존되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도시축소의 현상을 더욱 세밀하게 파악하는 기준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축소도시의 유형을 분석하고 특성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인구의 증감률 및 인구의 이동을 주요 변수로 분석한 결과 다섯 개의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각각 고착형,?? 연계형,?? 내부유출형,?? 수도권형,?? 정체형으로 그 특성을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도시에 맞춤형 도시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요약2 The population of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is declining, and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re predicted to become more severe. Accordingly, the concept of a shringking city began to emerge, and relate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Korea.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spatial scope of the analysis target was mainly limited to a single city, so the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could not be reflected. Cities have the property of growing through connection with surrounding areas, but existing studies do not consider the connection with surrounding areas, so it is difficult to properly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 Second, by focusing on the city area, the county area was omitted. Compared to the city area, the county area has a higher population reduction rate and poor environment, so research including the county area is needed. Third, they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movement of the population, mainly focusing on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o present a standard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urban shrinkage in more detail, and to analyze the types of shrinking cities and derive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crease/decrease rate of the popul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population as main variables, it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can be divided into fixed type, connected type, internal outflow type, metropolitan area type, and congested type.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urban policies tailored to each city.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