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대단지 아파트가 주거지 분리에 미치는 영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The Large Apartment Complexes an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 Focused on Pusan
저자명 박영민(Park, Young Min) ; 김종구(Kim, Jong Gu)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4(통권 제106호)
페이지 pp.153~170
ISSN 15980650
주제어 주거지 분리; 대단지 아파트; 상이지수; 주거지 분리지수; LISA; 다중회귀분석; 공간회귀분석 Residential Segregation; Large Apartment Complexes; Dissimilarity Index; Segregation Index;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uto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patial Regression Analysis.
요약1 근린주구론을 근거로 아파트 단지는 상가 및 학교를 중심으로 내향적으로 구성되었으며, 하나의 가구(block)를 완결된 하나의 근린주구 단위로 다루었다. 그리고 1,000세대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가 확산하면서 하나의 필지가 완결된 하나의 근린주구 단위로 확장하고 있다. 근린주구론에대해 폐쇄적인 도시공간 구조의 조성 및 인종ㆍ계층에 따른 주거지 분리를 촉발한다는 비판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대단지 아파트가 주거지 분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상이지수와 주거지 분리지수를 활용하여 주거지 분리를 진단하였다. 그 결과, 가장 임대료가 높은 5분위와 가장 낮은 1분위 그리고 2분위에서 주거지 분리가 관측되었다. 주거지 분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공간회귀분석을진행하였다. 공통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 변수는 ‘제2종일반주거지역’, ‘제3종일반주거지역’, ‘대단지 아파트’, ‘구시가지’이다. ‘제2종일반주거지역’ 및 ‘제3종일반주거지역’, 그리고‘구시가지’는 주거지 분리를 경감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대단지 아파트’는 주거지 분리를가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짐작할 수 있는 바는 특정 소득수준에만 초점을맞춘 단순 대규모 공급보다, 각 지역에서 다양한 주거 선택의 기회가 열어주는 것이 주거지 분리와 주거 계층화, 주거 양극화 개선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이다.
요약2 Based on the ‘neighborhood unit’ theory, the apartment complex was composed internally around shops and schools, and was treated as a single neighborhood unit with one household. With the spread of large apartment complex, one lot is treated as a single neighborhood unit. Considering the criticism the ‘neighborhood unit’ created a closed urban space structure and triggere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by race and class,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ether large apartment complex cause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This study diagnosed residential segregation in Busan and identified the cause of residential segregation in a regression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groups was divided into five according to housing rents that explained economic conditions. To diagnose the residential segregation, the dissimilarity index and the segregation index was used. Residential segregation was observed in the 5th quintile(paid the highest housing rent) and in the 1st quintle(paid the lowest housing rent), and in the 2nd quintile.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egregation a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d spatial regression analysis. Common variables which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are “2nd Class Residential District”, “3rd Class Residential District”, “large apartment complex” and “old town”. The “2nd Class Residential District”, “3rd Class Residential District”, and “old town” served as factors to reduce the residential segregation, while “large apartment complexes” served as factors to increase the residential segregation.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