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주거지역의 보행안전 영향요인과 도시설계적 시사점 - 고령 보행자를 대상으로/The Factors Influencing Pedestrian Safety in Residential Areas and Their Implications for Urban Design - Focused on Older Pedestrians
저자명 이새롬(Lee, Sae Rom) ; 양희진(Yang, Hee Ji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4(통권 제106호)
페이지 pp.121~135
ISSN 15980650
주제어 고령자; 보행안전; 보행자 교통사고; 혼합연구방법 Older Adults; Pedestrian Safety; Pedestrian Collisions; Mixed Methods
요약1 본 연구는 고령자의 보행안전에 관한 논의가 부족했다는 문제의식 하에 양적ㆍ질적 혼합연구방법을 통해서 주거지역의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서울의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교통환경, 보행환경, 근린환경 요소가 고령자 보행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종합적인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교차로 및 대중교통시설 밀도와 같은 교통환경, 보차혼용 비율과 같은 보행환경을통제하더라도 고층주택지 비율, 평균 필지규모와 같은 근린환경 특성에 따라 고령자 보행안전에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현장관찰 및 고령자 인터뷰에 따르면 저층 주거지역은 보행공간의 연속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보행혼용 도로의 비중이 높으며, 주거공간과 근린시설의연계성이 낮아 고령자의 보행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주거지역에서 고령자의 보행안전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주차장, 공원 등의 생활인프라 공급과 보행환경을 함께 개선하는 포괄적 주거개선 사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요약2 With the lack of discussion around older pedestrian safety in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carries ou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ith a mixed-method approach to providing implications for urban design. Taking a case of residential areas in Seoul, this study comprehensively evaluates the impacts of traffic, pedestria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on older pedestrian accidents. Our research confirms tha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raffic and pedestrian environmental factors,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e. lot sizes and housing typ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lder pedestrians’ safety. According to field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older adults, the risk of pedestrian accidents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increases due to a relatively lack of continuity of pedestrian spaces, inadequate separation of pedestrian spaces and vehicle movement, as well as unintegrated arrangement with neighborhood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older pedestrians’ safety through a comprehensive planning strategy in residential areas, which not only provides living infrastructure (i.e. parking spaces and parks) but also enhances pedestrian environment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