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생애주기별 사회적 약자의 보행환경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근린생활권에서의 보행친화도와 보행네트워크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Pedestrian Environment Satisfaction on of the Socially Vulnerable Groups by Life Cycle Stages - The Walkability and the Pedestrian Network in the Neighborhoods
저자명 이소민(Lee, So-Min) ; 이명훈(Lee, Myeong-Hu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4(통권 제106호)
페이지 pp.17~34
ISSN 15980650
주제어 사회적 약자; 보행친화도; 보행네트워크; 보행 만족도; 근린생활권 Socially Vulnerable Groups; Walkability; Pedestrian Network; Pedestrian Satisfaction; Living Area of Neighborhood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근린생활권을 중심으로 사회적 약자의 보행특성에 따른 보행환경 만족도영향요인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생애주기별 흐름에 따라 유형별로 보행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생애주기를 기준으로 사회적약자를 1)어린이 및 초등학생, 2)영유아 양육자, 3)고령보행자 집단으로 구분하고, 근린생활권을대상으로 집단별로 이용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집단1의 경우 ‘보행의 흥미성’ 항목이, 집단2의 경우 ‘보행의 편의성’ 항목이, 집단3의 경우 ‘범죄로부터의 안전’ 항목이 보행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전문가들이 유형별로 중요하게 평가한 요인과실제 주거지를 대상으로 사회적 약자 집단이 평가한 결과는 많은 차이점이 있었다. 실제로 보행환경요인이 사회적 약자의 집단별 특성에 따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증분석을 통한 사회적 약자 집단의 이동성을 고려한 개선방안 제시는 중요하며, 앞선연구결과를 토대로 근린생활권에서 사회적 약자의 유형별로 보행환경과 네트워크 특성에 따라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될 부분이 무엇인지를 깊이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analyze pedestrian environment influence factors of the socially vulnerable in the neighborhoods, and to analyze how different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satisfaction among the socially vulnerable by life cycle stages. Above all, by the life cycle stages, the socially vulnerable were rdivided into three groups: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ant caregivers, and elderly pedestrians. Then, a group-by-group user survey was conducted at the neighborhoods of the groups. ‘Walking for fun’, ‘walking convinience’, and ‘safety from crime’ were key influence factors of pedestrian environment satisfaction for group 1, 2, 3,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factors of pedestrian environment satisfaction varied among the groups of the socially vulnerable.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supposedly important factors by the experts and the results evaluated by the socially vulnerable in the neighborhood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empirical studies on the mobility of the socially vulnerable, an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which areas in the neighborhoods need to be improved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walking environment and network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ly vulnerable group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