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주민 일상사 분석을 통한 마을 아카이브 연구 내용과 의미 - 서울 북촌 계동, 재동, 원서동 일대를 중심으로/Study of Contents and Meanings of Village Archive through Analysis of Residents’ Everyday Life History - Focused on Bukchon; Gyedong, Jaedong and Wonseodong, Seoul
저자명 서준원(Suh, Joon W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3(통권 제105호)
페이지 pp.121~140
ISSN 15980650
주제어 북촌; 일상사; 도시조경 아카이브; 마을 아카이브; 마을 기억지도; 시간을 품은 지도 Bukchon; History of Everyday Life;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 Village Archive; Mapping for Place Memory of Village; A Hundred Year Map; Time Travellers’s Map
요약1 국내 도시 및 조경학 분야는 ‘도시조경 아카이브’가 시작되는 단계로서,?? 본 연구는 일상사를‘마을 아카이브’를 통해 입체적으로 정리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191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를 기준으로 북촌 계동,?? 재동,?? 원서동 일대 주민들의 일상사적 장소를 아카이브 하기 위해 주민 심층 인터뷰 및 문헌 고찰을 진행했다.?? 자료는 기능적,?? 역사적,?? 정신적 특성을 기준으로 18 개의 일상사적 장소를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교육,?? 행정 및 보건 관련 일상 장소,?? 둘째,?? 평범한 일상 장소,?? 셋째,?? 조선 시대의 역사적 장소,?? 넷째,?? 근ㆍ현대 시대 문화,?? 상업및 종교적 장소,?? 마지막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관련 장소다.?? 이에 더해,?? 『북촌 100년,?? 시간을 품은 지도』와 같은 ‘마을 아카이브’?? 콘텐츠 활용 방법을 제안하여 그 의미를 더했다.?? 이 연구는일상공간 속 서사를 담은 ‘마을 아카이브’를 정리한 첫 작업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초석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요약2 The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 is now in its beginning stage in Korea, with the purpose the research is to collect ordinary stories of everyday life of Bukchon residences, to organize and to categorize them, and to create unique contents and meanings of everyday life history as “village archive” within multi-perspectives. In order to collect research materials from 1910s to 2010s in Bukchon; focused on Gyedong, Jaedong and Wonseodong, in-depth interviews and reviews of urban history are required. The eighteen sites based on the functional, historical, and spiritual characteristics were complied into following five contents. First, everyday places of education, health and administration; second, ordinary places for everyday life; third, historical sites of the Joseon Dynasty; forth, cultural, commercial, and religious places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in Korea; the last, place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urthermore, the research proposed a method of application for sustainable purpose. The study is significant as it shows the first progressive research analyzing contents; 『A Hundred Year Map of Bukchon, the Time Traveller’s Map』, and meanings for the “village archive” as a cornerstone for further research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