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강원지역 중ㆍ소도시의 도시형태 기초연구 - 강원지역 18개 시ㆍ군의 시가지 지역을 중심으로/A Basic Study on the Urban Forms of Medium and Small Sized Cities in the Gangwon Area - Focused on Urban Areas in 18 Cities and Counties of the Gangwon Area
저자명 박훈(Park, Ho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2(통권 제104호)
페이지 pp.117~136
ISSN 15980650
주제어 강원지역 중; 소도시; 공간정치; 도시형태; 물리적 특성; 도시조직 Medium and Small Sized Cities in the Gangwon Area; Spatial Politics; Urban Form; Physical Characteristics; Urban Organization
요약1 본 연구는 강원도 중ㆍ소도시 18곳에서 나타나는 도시조직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형태의 특성을 분석하고, 공간정치 차원의 접근을 통해 시기별 분석의 틀을 제시하며, 도시조직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7개의 시단위 행정구역과 11 개의 군단위 행정구역은 각기 다른 형태와 규모의 시가지 공간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영향에서 비롯된다. 특히 가로, 블록, 필지, 건축물의 특성 분석을 통해 도출한 각각의 고유한 형태특성은 각 시군단위 행정구역 시가지의 형태적 차별성 혹은 유사성을 갖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천, 해안선, 호수 등 지형적, 지리적 특성이 전체 도시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시가지(원도심)의 상당수는 격자형 그리드 체계를 바탕으로 정형화된 도시공간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일부 군지역과 도심 쇠퇴가 일어나고 있는 시단위 행정구역에서는 성장기에 정비된 부지가 그대로 남겨져 쇠퇴기 지방 도시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요약2 This study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forms centering around the urban tissue of 18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Gangwondo, presents frames of analysis for different time periods through approaches to the dimensions of space politics, and deduces detaile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mponents of urban tissue. The implications were as follows. Seven city unit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eleven county unit administrative districts had urban spac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orms and scales and these came from historical, geological, and environmental effect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 unique form characteristic deduc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treets, blocks, land parcels, and buildings acted as causes for the formative differentiation or similarities of each city and county administrative district. Also, it was found that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ivers, coastlines, and lakes affect the forms of entire cities and most urban areas (city centers) displayed formalized urban spatial structures based on grid-patterns. Land plots that are maintained during periods of growth are left as they are in partial military areas and in city administrative districts where downtown decline is occurring, displaying the reality of provincial towns in periods of declin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