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공간구문론을 적용한 공동주택 생활가로공간의 설계 방안연구/A Study on the Design Plan for Neighborhood Street Space of Apartment Houses Applying Space Syntax
저자명 김선호(Kim, Sun-ho) ; 양승우(Yang, Seung-Woo)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1(통권 제103호)
페이지 pp.199~211
ISSN 15980650
주제어 생활가로; 공간구문론; 접근성; 반격자형 구조 Neighborhood Street; Space Syntax; Accessibility; Semi-lattice
요약1 본 연구는 생활가로의 중요성이 요구되는 수서 신혼희망타운을 대상으로, 가로 보행자의 접근성을 예측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을 통해 공동주택 생활가로공간의 설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공간구문론으로 중심 생활가로를 축선분석하였을때 반격자형 가로체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내ㆍ 외부 생활가로가 혼합된 유형이 평균 부분통합도가 가장 높았으며, 중심생활가로 뿐만 아니라, 내부 생활가로도 보행자의 접근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웃주민의 접근성이 높은 곳에 공유형 커뮤니티시설을, 단지 내 사람들의 접근성이 높은 내부 생활가로는 육아관련 시설을 배치하여 일상에서 주민간 잦은 만남이 일어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단지계획에서 공간구문론을 적용한 생활가로의 계획은 가로체계의 특성에 따라 보행자의 접근성을 예측할수 있어, 생활가로의 활성화를 계획단계에서 검토할 수 있다. 또한, 공간구문론은 보행자의 가시성과 이동성을 근간으로 한 정량적 분석방법이기 때문에, 보행 친화적 단지계획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요약2 The study aims to suggest the design method for the neighborhood street space of apartment houses through Space Syntax, which predicts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The study analyze Suseo New Marriage Town that features the neighborhood streets. Applying the Axial Analysis of Space Syntax to the central neighborhood street, the integrated type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street spaces, which has Semilattice street network systems, showed the highest average Integration-R3. It also predicted high pedestrian accessibility in the inside and central neighborhood streets. With these analyses, it is planned to allow frequent encounters between neighbors in daily life, by planning the shared community facilities on the place with the high accessibility from neighbors and childhood facilities on the inside neighborhood street with the community's high accessibility. The neighborhood street planning using Space Syntax in residential complex plan could examine the neighborhood street's activation in the planning process as it predicts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based on the street system's spatial organization. In addition, Space Syntax could be diversely used for the pedestrian-friendly community planning, as it is a quantitative methodology based on pedestrian visibility and mobility.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