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춘천 캠프페이지 시민공원 마스터플랜 계획안 - “100개의 공원”에 대한 계획을 중심으로/The Masterplan for Chuncheon Camp Page Park - Focused on the Alternative Models, Customized Design and Scenario Planning
저자명 김영민(Kim, Youngmi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1(통권 제103호)
페이지 pp.25~43
ISSN 15980650
주제어 도시공원; 캠프페이지; 커스텀화 설계; 시나리오 계획; 공원설계 Urban Park; Camp Page; Customized Design; Scenario Planning; Park Design
요약1 본 연구는 미군기지였던 캠프페이지를 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춘천 시민공원 마스터플랜” 설계공모안을 통해 불확실성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공간적인 구체성을 갖춘 새로운 공원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계안은 커스텀화되는 공간 구조와 시나리오 기반의 계획의 두 가지틀을 새로운 공원의 모델로 제시하였다. 커스텀화는 기존 공원설계 모델의 조닝 방식에 대한 대안으로, 공원의 기본 구성 요소들의 새로운 결합 방식을 통해 이용자가 공원의 공간과 프로그램을 목적에 맞게 재구성할 수 있는 유연한 공간 구조를 구성한다. 한편, 시나리오 기반의 계획은기존의 단계적 개발 방식의 대안으로, 미래의 불안 요소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기본 구조에서 분기된 다양한 공간적 대안으로 이루어진 계획 방식을 의미한다. 본 설계안은 최근의 도시설계의 주요한 설계적 전략을 공원설계의 과정에 받아들였으며 탈중심적이며 도시와 명확한 경계를 갖지 않는 도시와 결합된 새로운 공원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한 대상지의 설계적 대안을 넘어 내적 완결성을 추구하는 공간 중심의 공원 모델과 프로세스 중심의 공원 모델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천적 이론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요약2 This study proposes a new alternative model of park design that can flexibly react to uncertainties in future, based on the design scheme for “Masterplan Competition for Chuncheon Park” to transform the former U.S. military base to an urban park. The scheme suggests two frameworks which are customized spatial structure and scenario based planning as a alternative model for the new park. The first model of customization replaces the zoning methods for park design. It enables users to easily recompose spaces and programs of the park according to their needs. The second model, scenario based planning is an alternative of the classic phasing strategy. It is an planning method consisting of diverse spatial alternatives that are derived from the standard prototype structure to deal with future uncertainties. The design scheme proposes a new decentralized park structure closely integrated with the city blurring the boundary as adopting new urban design trends in to park design. This study not only proposes a design solution for the specific site but also searches a new potential of practical theory to overcome the limits of both existing park design models pursuing intrinsic completeness and time based proces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