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영동아파트지구계획에서 근린주구론의 적용과 한계 - 도곡아파트지구 역삼주구를 중심으로/Limitations of The Neighborhood Unit Theory Applied to the Master Plan of Youngdong Apartment Districts - A Case Study of the Yeoksam Neighborhood Unit, Dogok Apartment District
저자명 김혜영(Kim, Hye-Young) ; 이상헌(Lee, Sang-Hu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6(통권 제102호)
페이지 pp.121~136
ISSN 15980650
주제어 근린주구론; 슈퍼블록; 영동아파트지구; 아파트단지 Neighborhood Unit Theory; Superblock; Youngdong Apartment District; Apartment Complex
요약1 본 연구는 영동아파트지구계획에 적용된 근린주구론을 페리의 근린주구론과 비교ㆍ분석하여 그 특징과 문제점을 밝히고, 도곡아파트지구-역삼주구를 대상으로 근린주구가 어떻게 계획되어 구현되고 변화되었는지 실증 분석한 후, 현 도곡아파트지구의 문제가 기존 아파트지구계획의 한 계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혔다. 이를 위해 먼저 1976년 영동아파트지구계획을 페리의 근린주구 각 계획 요소별로 비교하여 분석하고, 다음 도곡아파트지구의 근린주구계획과 실행과정, 2000년 대 이후 재건축으로 인한 변화의 과정을 추적 조사하였다. 도곡아파트지구는 계획이전부터 건설 된 도시공간으로 인해 제약을 가지고 있었고, 계획과 실행과정에서 계획단위의 불일치, 근린주 구의 물리적 계획의 부재, 개발단위의 파편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곡아파 트지구는 단지별 경계가 단절되지 않아 비교적 안전하고 조화로운 근린주구를 형성할 수 있었 다. 그러나 재건축과정에서 단지별 폐쇄성이 강조되면서 이전에 잠재했던 문제들이 드러나게 되 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향후 아파트지구 재개발과정에서 단지별 폐쇄적 개발을 지양하고 근린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근린주구의 물리적 계획뿐 아니라 이를 실현하기 위한 개발단위의 조정과 같은 현실적인 도시계획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도곡아파트지구 사례 를 통해 배울 수 있다.
요약2 This study analyzes the Neighborhood Unit Theory applied to the Youngdong Apartment districts Master plan(1976), with focus on Dogok district; First, the inconsistencies of Youngdong Aparatment district plan were analyzed in terms of Clarence Perry’s Neighborhood Unit Theory. Then, Dogok apartment district plan and the subsequent process of execution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changes after the reconstruction during the early 2000’s. Dogok apartment district had inherent limitations in the planning of a neighborhood unit due to the existing urban structure made by land readjustment plan and the urban development; such as the lack of relevant physical plan for neighborhood unit, discrepancies between the boundary of the apartment district and superblock, and fragmentation of planned units(danji) within the district. Nonetheless, Dogok apartment district was able to build a relatively harmonious neighborhood community. However, the problems of the apartment district were revealed in the course of reconstruction after 2000’s as each Apartment complex(planned unit) was rebuilt as an exclusive gated community. Therefore, a more sophisticated urban design strategy is required in order to maintain the neighborhood community of an Apartment district.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