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생활도로 보행환경 개선사업에서 자동차 주행속도와 감속요인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서울시 보행자우선도로 시범사업 모니터링 데이터를 중심으로/Reconsidering Vehicular Speed and Deceleration Factors in the Neighborhood Streets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s - Based on the Pedestrian Priority Streets Pilot Projects Monitoring Data
저자명 남궁지희(Namgung, Jihee) ; 박소현(Park, So-Hyu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6(통권 제102호)
페이지 pp.69~88
ISSN 15980650
주제어 생활도로; 보행자우선도로(서울시); 주행속도; 보차상충; 교통정온화 Neighborhood Streets; Pedestrian Priority Streets(Seoul); Vehicular Speed; Pedestrian-Vehicle Conflicts; Traffic Calming
요약1 자동차 주행속도와 속도저감을 중시하는 보행 안전 정책에서, 보차혼용, 협소, 과밀 등 전형 적인 생활도로의 맥락은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보행자우선도로 시범사업 모니터링에서 구축된 45개 조사지점의 실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활도로에서 자동차 주행속도 의 현황과 변화 특성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사업 전후 통산 평균 주행속도는 약 18km/h였 고, 측정값의 80%가 10~25km/h 사이에 분포하였다. 사업 의도와 달리 전후 변화에서 가속이 일어난 사례가 더 많았고 평균도 증가했다. 보행류와 보차비, 점유도 등의 노출변수는 절대속도 억제 요인으로 작용했고, 사전속도에 따라 감속 또는 가속의 확률과 의미가 달라졌다. 사전속도 가 빠르고 억제 요인이 없을 때에는 속도 문제의 대응이 중요해지지만, 낮은 속도가 과도한 지 체, 혼잡, 상충에서 기인한 것이라면 오히려 가속이 개선의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속도 의 양면성은, 환경적, 행태적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도록 생활도로의 계획목표와 우선순위, 설계 와 평가기준의 세분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요약2 Reducing vehicular speed is a primary target in pedestrian safety policy. However, its validity in shared, narrow, and crowded environment of typical neighborhood streets has been barely questioned.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speed and related factors, based on monitoring data from 45 cases of Pedestrian Priority Streets pilot projects in Seoul. Overall, the average speed was 18km/h, and 80% stayed between 10-25km/h. Despite intentions, speed after the treatment increased, by average and in more cases. Pedestrian flow and other exposure variables were decisive as speed restraints. Speed changes depended mainly on the previous speed. Cases with previous high speed and few restraints deserve viable measures against the speed issues. Meanwhile, acceleration might be a sign of improvement where low speed is associated with excessive delay, congestion and conflicts. This ambiguity suggests that goals and priorities, design and evaluation of neighborhood streets should be articulated to embrace the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diversity.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