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이용자 참여를 통한 명상숲 설계안 도출에 관한 연구 - 무안현경중학교를 사례로/The Design Alternatives of Meditation Forest through User Participation - Focusing on Muan-Hyunkyung Middle School
저자명 강태순(Kang, Taesun) ; 정문선(Jeong, Moonsu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4(통권 제100호)
페이지 pp.87~102
ISSN 15980650
주제어 학교명상숲; 중학교; 참여디자인; 동적 유형; 정적유형 School Meditation Forest; Middle School; Participatory Design; Active Type; Static Type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직접적인 설계참여를 통하여 다양한 이용자 요구에 적합한 명상숲 설계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전교생과 전교직원을 대상으로 설문, 그림그리기를 사용하여 워크숍을 수행하였다. 본조사의 설문내용은 명상숲에 대한 필요요소와 요구, 원하는 공간 및 시설 등이었다. 최종설계안은 본조사 설문과 이용자가 작성한 72개의 명상숲 설계안을 종합분석하여 도출 하였다. 연구결과, 명상숲 조성에 고려해야할 필요요소로는 기능성, 활동공간, 자연성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는 원하는 활동으로 휴식, 산책, 운동, 동식물기르기 등을 선택했고, 원하는 공간은 쉼터, 자연스런 숲, 산책로, 운동공간 등으로 나타났다. 명상숲 참여설계안에는 평균 3~4개의 공간 유형이 나타났고, 휴식공간, 식재공간, 운동공간, 생태연못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동선의 경우, 체육관을 중심으로 부지 전체를 순환하는 단순한 동선구조가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명상숲의 휴식기능이 강조된 기본형을 중심으로 운동 및 놀이가 강화된 동적유형과 명상 및 교육기능이 강화된 정적유형의 설계안이 중학교 명상숲의 설계안 모델로 제안되었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meditation forest design plan for various user needs based on direct user’s participation in design.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s using questionnaires and drawings were conducted for all students and staff. The contents of the main survey questionnaire are the required elements, demand, and desired types of space and facilities by users for meditation forest. To derive the final design proposal, the main survey questionnaire and 72 meditation forest design proposals created by users were synthesized and analyzed in the study. As a resul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meditation forest were functionality, activity space, and naturalness. Users selected rest, walk, exercise, raising animals and plants as a desired activity, and the desired space appeared as shelters, natural forests, walking trails, and exercise area. In the design of meditation forest by users, 3-4 types of space appeared on average, and the most common types of space were resting area, planting area, exercise area, and an ecological pond. For path designs, the simple circulation around the gymnasium has generally appeared. Based on these results, two design alternatives can be proposed focusing on the basic type with the relaxation function of the meditation forest. The first is an active type that enhances exercise and play functions, and the second is a static type that strengthens meditation and education function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