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일제 식민지기 근대문화시설로서 경성(京城) 극(劇) 공간의 입지적 특성과 사회적 기능 연구/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Function of Theater Spaces in Gyeongseong(Seoul) as Modern Cultural Facilities during the Japanese Rule
저자명 김성태(Kim, Sung-Tae) ; 권영상(Kwon, Young-Sang)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4(통권 제100호)
페이지 pp.5~24
ISSN 15980650
주제어 일제 식민지기; 근대시설; 극장; 공회당; 문화공간; 입지적 특성; 사회적 기능 Japanese Rule; Modern Facilities; Theater; Public Hall; Cultural Space; Locational Characteristics; Social Function
요약1 본 연구는 근대적 삶을 체득하는 공간으로서 경성 극장의 입지적 특성과 사회적 기능을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ㆍ북촌의 극장과 근대 고급문화 형성의 공간으로 공회당을 고찰하였다. 당시의 극장은 입지적 관점에서 남촌의 공간 동화 및 남북으로 구분되었던 이중도시의 경계를 완화하는 시설로 활용되었으며, 입지를 통해 일제의 공간적 지배체제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근대성의 표상과 공공성 추구를 위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일제의 입장에서는 관 주도의 규율 공간으로, 조선인의 입장에서는 계몽의 장소 및 새로운 계층을 탄생시킨 공간으로 역할을 하였다. 식민지 조선이라는 특수성으로 우리의 주체적 생각이 결여된 채, 도입된 극장은 설립 의도, 조성 과정, 사회적 기능이 서구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민간과 공공에서 도입된 극장 계획을 통해 근대 사회로의 이행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요약2 This study examines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aters in Gyeongseong as spaces where modern ways of living could be learned, and analyses their function as socialization spaces. To this end, the theaters of Namchon and Bukchon, as well as public halls were analyzed as spaces for the formation of modern high-class culture. From a locational perspective, theaters at that time were utilized as cultural spaces to assimilate the spaces of Namchon and to weaken the boundaries of the dual city. Additionally, by virtue of their location, they served as catalyst to strengthen the spatial control structure of the Japanese regime. Furthermore, they performed several social functions for symbolizing modernism and pursuing publicness. From the Japanese perspective, they symbolized discipline and governmental contro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oseon people, they were places for enlightenment and creating a new social clas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t empirically analyzes the transition process to a modern society through theater plans introduced by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