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주거단지 내 빗물순환을 위한 수공간의 유형화와 저류지공원 경관설계 - 전주 효자택지 내 용호근린공원을 대상으로/Water Space Classification for Rainwater Circulation in Residential Complexes and Reservoir Park Design - With Case Study on Youngho Urban Park at Hyoja Residential Complex, Jeonju City
저자명 조주원(Jo, Juwon) ; 이명우(Lee, Myungwoo)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2(통권 제98호)
페이지 pp.99~116
ISSN 15980650
주제어 저영향개발; 유역분석; 레인가든; 경관생태학; 주연부효과 LID; Watershed Analysis; Rain Garden; Landscape Ecology; Ecotone
요약1 본 연구는 자연형 물순환체계의 회복을 위해 도시의 택지 내에 적용될 수 있는 수공간을 유형화 하였으며, 이를 저류지공원의 리모델링 설계에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빗물과 저류지, 수량ㆍ수질관련 이론과 법규를 검토하였고, 리모델링 설계에서는 SSB(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e)system, SSS (SLOW-SPREAD-SOAK)model, 경관생태학의 Patch-Corridor-Matrix model, Dramstad’s Principles, Ecotone(주연부효과)을 도입하였다. 유역분석(watershed analysis)으로 대상지의 특성을 검토하였고, 유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수공간을 자연형과 도시형으로 분류하여 사례연구를 하고 시사점을 파악하여 유형화와 저류지공원 설계에 반영하였다. 도시형 수공간은 토지이용과 이용주체, 녹지규모에 따라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학교와 공공건물, 어린이공원과 저류지공원의 6 type으로 유형화하였고, 용호저류지공원의 경관설계에는 학교형과 어린이공원형, 저류지공원형이 적용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유형의 적용은 공원의 입지여건이나 설계자의 디자인 의도에 따라 선택적용이 가능하다. 연구결과는 도시 내 저류지공원 설계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형 빗물순환 구조의 적용은 홍수 시 첨두유량 조절과 미기후 조절, 하천의 건천화와 오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용자의 생태의식 전환에 기여할 수 있다.
요약2 This study classified the water space that can be applied within the residential area of the city to restore the natural water circulation system, applying the result to the remodeling design of the reservoir park. For the study, the theories and laws related to rainwater, reservoirs, quantity and quality of water were reviewed. In the remodeling design, the SSB(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e)system, SSS(SLOW-SPREAD-SOAK)model, Patch-Corridor-Matrix model of landscape ecology, Dramstad’s Principles, and Ecotone(edge effect) were introduce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were reviewed through watershed hierarchy. After the water space that could happen in the watershed was divided into groups- natural and urban types, case studies were made, which were reflected in the classification and reservoir park design. The urban water space was classified into 6 types : houses, apartments, schools, public buildings, children’s parks and reservoir parks according to the land use, the subject of use, and the scale of green space.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type, children’s park type, and reservoir type can be applied to the landscape design of Yongho Reservoir Park. The application of each type can be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park or the designer’s intention. The results of study can be made use of designing a reservoir park in the city. The application of this natural rainwater circulation structure can solve the problems of peak flow control during flooding, microclimate control, river aridification and pollutio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conversion of users’ ecological awarenes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