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대학 캠퍼스 내 물리적환경이 학생들의 보행행태와 외부활동에 미치는 영향 -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The Eff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n Students’ Walking Behavior and Outdoor Activities on the University Campus - A Case Study of Kongju University in Cheonan Campus
저자명 안다은(Ahn, Da-Eun) ; 이경환(Lee, Kyung-Hwa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2(통권 제98호)
페이지 pp.71~86
ISSN 15980650
주제어 대학캠퍼스; 물리적 환경; 보행행태; GPS; 스마트폰 University Campus; Physical Environment; Walking Behavior; GPS; Smartphone
요약1 본 연구는 GPS 데이터를 활용하여 캠퍼스 내 학생들의 실제 보행행태 및 외부활동 특성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보행친화적인 캠퍼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계획방향과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보행 GPS 데이터를 수집하고 대학캠퍼스의 물리적 환경과 학생들의 보행행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보행 GPS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숙사생의 보행통행이 통학생보다 약 1.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통행빈도가 높은 가로를 살펴 본 결과, 가로의 활력수준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캠퍼스 내 외부활동은 주로 사회적 활동이 관찰되었는데, 보행 및 휴게공간이 확보되어 있을수록 더 많은 사회적 활동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캠퍼스 내에서 다양한 외부활동이 나타날 수 있도록 보행공간 및 휴게공간을 조성하고 가로공간의 활력수준을 높이는 계획이 필요하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destrian behavi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activity on the university campus. We utilized GPS surveys to identify the physical traits of the campus environment that affect pedestrian behavior and the activities of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walking GPS data from the students’ smartphones to examin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ampus on students’ walking behavior.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streets with high pedestrian frequency and external activities was analyzed. Through this, the direction for planning and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 pedestrian-friendly campus environment were derived. Analysis of student GPS data showed that students living on campus walked an average of 1.6 times more per day than commuting students. Because the daily life of dormitory students focused primarily on the campus, the elements of campus design involv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pedestrian pathways, and the use of dormitory living space were the focus of the study. Social activity was also observed. After examining the streets characterized by high-frequency student use, we found that the streets with the highest level of vitality were preferred. We, therefore,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variety activities on campus, that campus design must consider more lively and safe pedestrian environments, and that this can be accomplished by increasing the level of vitality in the street spac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