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지오태그(Geo Tag)를 활용한 도시경관 자원 발굴/The Discovery of Urban Landscape Resources Using Geo Tags
저자명 황선미(Hwang, Sunmee) ; 김형보(Kim, Hyungbo)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2(통권 제98호)
페이지 pp.61~70
ISSN 15980650
주제어 지오태그; 도시경관자원; 파노라미오; 시민참여; 커널밀도분석 Geotag; Urban Landscape Resource; Panoramio; Civic Participation; Kernel Density Analysis
요약1 본 연구는 일반인들이 촬영한 사진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기존 경관계획의 약점을 보완하고, 이용자가 자발적으로 올린 사진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이용자 선호 경관을 조사 및 고찰하고자 하였다. 경관자원 발굴을 위하여 Open API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추출된 데이터를 점 데이터로 변환한 후 커널밀도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경관자원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도출된 데이터를 부산시의 경관디자인가이드라인, 관광실태조사 등 기존 자료들의 데이터들과 비교분석하여 데이터의 정확성 및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가 자문, 설문조사 등의 방식으로 수립되어오던 경관계획 과정에 지오태그 데이터를 연계하여 다수의 이용자 의견을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구득하여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정책 수립 과정에서 시민 의견 수렴 및 반영 과정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계속해서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방법론이 경관계획을 비롯한 다양한 정책 과정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요약2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and consider the user’s preferred landscape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photos taken by ordinary people to supplement weaknesses in existing landscape plans and analyze the data of photos uploaded voluntarily by users. A database using Open API data was built for the excavation of landscape resources, and the extracted data was converted into point data. Then, this study determined the distribution of landscape resources through kernel density analysis. The derived data were compared with existing data such as the Busan Metropolitan City Landscape Design Guidelines and the Tourism Survey in terms of accuracy and validity. Existing urban landscape planning has been conducted through expert advice and survey method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ology to utilize geotag data to obtain the opinions of multiple users in less time and at less cost and to reflect them in urban landscape planning.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reflecting citizens' opinions in the course of policy-making continue to be strengthened, and we expect that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various policy processes, including urban landscape planning.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