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미국 보행통학증진 및 통학로 안전 프로그램 (Safe Routes to School Program)에 대한 비판적 이해 - 뉴욕주 사례를 중심으로/Critical Understanding of Safe Routes to School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 Focused on Interventions in New York State
저자명 강범준(Kang, Bumjo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1(통권 제97호)
페이지 pp.103~119
ISSN 15980650
주제어 교통안전; 보행친화성; 학령기 아동; 보행 정책; 건강 도시; 해외사례 Traffic Safety; Walkability; School-age Children; Active Transportation Policy; Healthy City; International Case Study
요약1 2000년대 초반부터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국가에서는 “보행통학증진 및 통학로안전(Safe Routes to School (SRTS)) 프로그램”이 적극 도입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국내에도 여러 형태로 SRTS 프로그램이 소개된 바 있다. 본 논문은 국내 문헌을 대상으로 외국 SRTS가국내에 소개된 방식과 내용을 분석였다. 문헌분석 결과 대부분의 문헌은 프로그램의 성과 및 실제 사업 적용 맥락 등이 구체적으로 소개하지 않았고 그 내용이 단편적이었다. 추가로 본 논문은 SRTS 사업의 영향과 실제 운영 방식을 규명하기 위해, 미국 뉴욕주의 SRTS 프로젝트를 전수 조사하여 프로그램 운영의 성격, 집행방식, 성과(어린이 교통사고 저감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기대와 달리, SRTS는 비(非)인프라형식의 사업이 주류였고, 뉴욕주 전체를 대상으로한 자료에서는 어린이 보행자, 자전거이용자 교통사고 저감과 SRTS 참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가 없었다. 사례조사를 통해 실제 SRTS가 운영되는 구체적 사례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SRTS 정책과 비견될 수 있는 국내 정책을 찾아 그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요약2 To promote walking to school, a national policy called “Safe Routes to School (SRTS)” was initiated in the early 2000s in the U.S., the UK, Austrailia, and New Zealand. When the SRTS program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its contexts and outcomes were not fully explained. The current study aimed to provide a critical understanding of SRTS through the analysis of its legal foundation and policy background and the study of the New York State case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SRTS was introduced and understood in Korean academic and gray literature. This study found that (1) Korean literature mostly focused on cases from the U.S., without evaluating their safety outcomes; and that (2) it is not clear whether SRTS participation had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collision involving children. An in-depth SRTS case revealed that there were contradictions with the implemenation of SRTS program. SRTS cases can serve as a useful reference in developing similar policies in South Korea.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