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7대 광역시 공원서비스의 포용성 분석/An Analysis on the Level of Park Services in Korea’s Metropolitan Cities
저자명 김용국(Kim, Yong-Gook)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5(통권 제95호)
페이지 pp.19~32
ISSN 15980650
주제어 포용도시; 도시공원 정책; 녹색인프라; 생활 SOC Inclusive City; Urban Park Policy; Green Infrastructure; Living SOC
요약1 포용적으로 공급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포용적 녹색도시 환경 구축을 위한 공원 정책의 개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서비스로부터 배제된 지역과 주민이 다수 존재한다. 7대 광역시 1,148개 읍면동 가운데 법적 공원 확보 기준인 3㎡/인에 못미치는 지역이 530개(약 46.2%)에 달한다. 둘째, 7대 광역시 1,148개 읍면동의 공원서비스 수준과 사회경제 및 환경적 지위(SEES)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노인인구 비율이 높고, 경제 및 교육 수준이 낮은 지역일수록 공원서비스 수준이 낮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산점도작성 결과에서도 공원서비스 수준이 매우 취약한 근린지역 가운데 노인인구 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 유소년 비율이 15% 이상으로 보육서비스에 대한 필요도가 높은 지역,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이 20% 이상을 차지하는 빈곤지역, 비만율이 30% 이상인 신체활동 부족 지역,그리고 폭염과 미세먼지 취약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집분석 결과 ‘노인 계층에 대한 포용성 부족 지역’, ‘영유아 계층에 대한 포용성 부족 지역’, ‘환경적 취약계층에 대한 포용성 부족 지역’, ‘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포용성 부족 지역’등 4개의 근린 집단 유형이 도출되었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metropolitan urban park services are provided in an inclusive way ny considering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status of neighborhood unit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s of park policy for green city environmen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areas and residents excluded from the park services. Of the 1,148 neighborhoods in metropolitan cities, 530(about 46.2%) have a park area less than 3㎡ per person, which is the standard for securing parks in legal wa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k service level and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status(SEES) variables, 1,148 neighborhoods in metropolitan cities, it is deduced that the level of park service is poorly provided, where the elderly ratio is high and economic and educational level is low. The scatter plot results also showed that neighborhoods with very poor park services included the followings: a) aging neighborhoods where elderly consists more than 20% of the total population, b) poor neighborhoods more than 20% of the residents are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c) areas lacking physical activity with obesity rate above 30%, and d) areas vulnerable to extreme heat and micro dusts. Thirdly, from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we were able to refine four types of neighborhoods requiring park services: ‘elderly welfare type,’ ‘child support type,’ ‘environmental issue type,’ and ‘local economy support typ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