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지오디자인의 이론적, 실천적 가능성과 한계/Limits and Potentials of Geodesign Framework in Theory and Practice
저자명 김영민(Kim, Youngmi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4(통권 제94호)
페이지 pp.57~74
ISSN 15980650
주제어 지오디자인, 지리정보체계, IGC, 도시설계, 빅데이터 Geodesign, GIS, IGC, Urban Design, Big Data
요약1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지오디자인의 이론과 방법론을 고찰하고 도시 계획ㆍ설계 분 야에서의 이론적, 실전적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지오디자인의 체계는 표현, 과정, 평가, 변화, 효과, 결정모형으로 구성되고, 여섯 모형을 세 번의 반복적 과정을 거치며 진행된다. 지오 디자인의 차별적 특징은 종합적 프로세스, 디지털 기술, 시공간적 스케일의 변주, 참여적 접근이 다. 지오디자인의 실천적 양상을 보여주는 IGC 사례를 분석한 결과 지오디지인은 도시적 주제를 다루는데 가장 적합하였으며 큰 스케일의 프로젝트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프로세스, 디지털 기 술, 스케일의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제시된 차별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참여적 접근의 특징이 실 천에서 나타난다고 보기는 힘들었다. 지오디자인은 정책과 설계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융합적 체계를 제시하며 빅데이터에의 활용에 최적화되어 있다는 강점이 있다. 그러나 GIS에 기반을 둔 지오디자인은 정성적 성격의 인문적, 미적 정보를 다루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건축ㆍ조경 설계와 괴리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지오디자인은 다양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보편성을 보여주면서도 국내의 특수한 도시설계의 문제를 다루는데에도 유용한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
요약2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Geodesign and clarifies its potentials and limits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desig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Geodesign can be summarized as four: synthetic process, digital technology, scale shifts, and participatory approach. Theoretically, the framework of Geodesign goes through three iterations of the set of six models of Representation, Process, Evaluation, Change, Impact, and Decision. The results of analyzing IGC projects, the case studies of recent Geodesign practice, are as following: 1) Geodesign seems to be most useful in dealing with urban issues in planning and larger scale projects. 2) Most of the IGC projects applied the synthetic process of Geodesign and recent digital technologies while working in multi-scales. 3)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participatory approach was well integrated into the projects. The multidisciplinary framework of Geodesign is expected to bridge the schism between policy makers and urban designers. Geodesign can also help to maximize use of big data in urban planning and design. However Geodesign present some disadvantages. In the Geodesign framework, it is hard to reflect aesthetic consideration and integrate qualitative data into the planning process. Discrepancies between the Geodesign framework and traditional design fields, such as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are also evident. Despite of some limitations, Geodesign has great potential in providing universal planning methods that can applied to different planning contexts while being useful in finding out new site-specific solutions for local problem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