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도시공원 일몰제 대응 공원녹지 조성을 위한 이용권 분석의 적용과 활용방안 - 광주광역시 25개 근린공원 사례연구/Spatial Analysis and Strategies with Concept of Catchment Areas to Create City Parks for Everyone Against Lifting of City Parks - A Case Study of 25 Neighborhood Parks in Gwangju, Korea
저자명 김대인(Kim, Dae-In) ; 김희철(Kim, Heechul)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4(통권 제94호)
페이지 pp.39~56
ISSN 15980650
주제어 도시공원, 일몰제, 접근성, 이용권, 공간분석 City Park, Lifting, Accessibility, Catchment Area, Spatial Analysis
요약1 최근 도시공원 일몰제에 대응하여 지자체는 도시공원 조성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도시계획 시설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이용권 기반의 접근성 분석을 적용하여 우 선관리지역을 선정하는 체계적인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장기미집행 시설인 25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모의실험을 통하여 접근성이 양호한 근린공원의 접근성과 효 율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분석결과 공원의 면적이 크거나, 또는 이용권이 최소한으로 중첩되는 또는 인구밀집 시가화지역과 중첩되는 이용 권 면적이 큰 공원 위주로 선택되는 경우에 공원 면적 대비 접근성 수준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효율성 평가결과 유사한 접근성 수준을 보여도 효율적으로 공원녹지 조성계획을 수 립할 수 있는 공원의 조합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장기미집행시설을 조성함에 있어 접근성 분석을 이용한 일련의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대안을 마련하고 정량적 인 비교분석을 통하여 평가를 통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요약2 The lifting of designation for city parks is one of the big issues to be solved by municipalities in Korea. In order to develop a methodology and implications for creating city parks for everyone against the lifting, the authors designed a simulation study to develop a evaluation tool for the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of various alternatives for neighborhood parks through spatial analysis with catchment-area-based accessibility index in Gwangju city. The authors evaluated the possible cases through the simulation study, and figured out which alternatives be bette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arks are better accessible when their catchment areas do not overlap each other or when most of their catchment areas overlap with dense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an alternative that will allow for more efficient planning of the park, even if the parks have similar levels of access. Moreover, the results revealed which alternatives have a good accessibility level compared to the park size through the efficiency evalua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adopt a series of spatial analysis techniques included accessibility index to meet the equity for making the public facilities such as parks, open spaces, and schools open to the public. With the techniques, the committees of experts and citizens are able to make the final decision with reviewing various alternatives by quantitative indicator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