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강릉시 교외 신규 개발지역의 공간 변화 추이/The Changing Spatial Patterns of New Urban Development Areas in Gangneung City in Korea
저자명 강상준(Kang, Sang Jun) ; 권태정(Kwon, Tae Jung)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2(통권 제92호)
페이지 pp.65~76
ISSN 15980650
주제어 스프롤 ; 도시확산 ; 도시형태학 ; 도시저밀개발 ; 공간자기상관성분석 Urban Sprawl ; Urban Morphology ; Low Density Urban Development ;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요약1 인구 약 20만 명 규모의 강릉시에서는 80년대 들어서며 주거지 중심의 도시개발이 이루어졌다. 강릉시의 지난 40년간 도시개발로 인한 저밀개발지역과 고밀개발지역의 공간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본 연구는 강릉시 개별 건축물 자료를 활용하여 공간자기상관석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강릉시 교외 저밀개발지역은 강릉의 구도심을 거점으로 확산하는 형태가 아닌 강릉시 전역에 걸쳐 나타났으며 세월이 흐른 후에도 거점지역으로 성장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저밀개발지역과 고밀개발지역 간에는 건축물 용도상에도 큰 차이가 없어 각 지역이 상대적 차별성을 기반으로 한 경쟁력 측면에서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강릉이라는 인구 20만 명 규모의 중소도시의 공간변화추이를 분석한 것으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나 개별 건축물 자료를 활용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 제시와 거점으로 발전하지 못하는 중소도시 교외개발의 한계를 일부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요약2 Gangneung City is a medium-sized Korean city o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Majority of the city's residential-oriented urban developments have been allowed since the early 1980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lmost forty years changing spatial pattern of the urban development areas in Gangneung City with about 200,000 population. LISA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and GIS mapping analysis, based on the data of individual building records, proves that (1) the city's low density urban developments during the era have been built randomly rather than expanded away from the old downtown and (2) none of the low density areas has grown to a high density central district. No significant land-use difference between low and high density development areas are also found, indicating low levels of differentiation between high density downtown areas and low density suburbs. As a case study it has a significant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is, however, believed to contribute to introducing a new urban morphology research method, which is based on individual building records, and also to empirically verifying the limitation of suburban low density developments within the context of a medium-sized Korean city.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