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사회적 혼합 아파트 단지의 이웃 유대감에 영향을 미친 요인/대구광역시 분양·임대세대 차이 실증분석/Factors Contributing to Neighborship in Social-mix Apartment Complexes in Daegu: Difference among Residents Living in a Private Sale and Public Rental Unit
저자명 안용진(Ahn, Yong-Jin) ; 김주현(Kim, Ju-Hyu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2(통권 제92호)
페이지 pp.21~32
ISSN 15980650
주제어 사회적 혼합 ; 이웃 유대감 ; 다중회귀모형 Social Mix ; Neighborship ; Multiple Regression Model
요약1 분양·임대세대 주민 간 갈등이 지속되는 등 사회적 혼합에 초점을 둔 임대주택 공급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소재 8개 사회적 혼합단지 내 거주하고 있는 주민 56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웃 유대감에 미친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분양-임대세대간 공간적 인접성이 가지는 중요성을 검토하기 위해 사회적 혼합단지의 분양-임대세대 물리적 배치유형을 분리형과 혼합형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거주민 대상 다중회귀분석 결과, 혼합배치(B=.222), 휴게공간(B=.175), 주민참여(B=.142), 놀이터(B=.133), 주민회의실(B=.095)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또한 분양-임대세대를 구분한 실증모형 결과, 임대세대의 경우 휴게공간(B=.260)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확인된 반면, 분양세대의 경우 놀이터(B=.166)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주민회의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단지계획 측면에서 사회적 혼합단지 거주민의 이웃 유대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분양-임대세대간 공간적 인접성이 높은 배치유형에 대한 고려와 휴게공간/놀이터 등 물리적 편의시설에 대한 계획적 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약2 It is still elusive whether the supply of a mixed tenure apartment complex can lead to the increase of neighborship among the residents living in a private sale and public rental unit. Employing 567 answers from the field survey on 8 social-mix apartment complexes in Daegu,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affecting neighborship of residents living in a social mix apartment complex. This study also figures out the difference in contributing factors between a private sale and public rental uni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configurations and spatial proximity. To do this, the researchers categorized specific physical configurations of mixed tenure apartment housings into two types: 'separate' and 'mixture'. As a result,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ith total samples reveals that 'spatial proximity (B=.222)', 'rest space' (B=.175), 'resident participation' (B=.142), 'playground' (B=.133), 'meeting room' (B=.095)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eighborship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p<.05). In addition, two separated models by private sale and public rental samples presented different results in terms of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factors contributing to the neighborship. While 'rest space' (B=.175)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ublic rental units, 'playground' (B=.133) is the most but 'meeting room' is not found the significance in private sale units. Therefore, this research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adapt site design strategies not only for spatial proximity between different tenure types but also for the supply of public facilities, where residents might be able to share their physical and social activiti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