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쉐어하우스 수요·공급 결정요인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서울시 쉐어하우스를 중심으로/Comparative Analysis of Determinants by Demand and Supply of Shared Housing - Focused on the Shared Housing in Seoul
저자명 김하진(Kim, Ha-jin) ; 유석연(Yoo, Suk-Ye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2(통권 제92호)
페이지 pp.5~20
ISSN 15980650
주제어 쉐어하우스 ; 1인 가구 ; 공급결정요인 ; 거주결정요인 ; AHP분석기법 Shared Housing ; Single-person Households ; Supply Determinants ; Demand Determinants ; AHP
요약1 장기간의 경제 불황 속에 공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대되고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주거비 부담 감소 및 주거의 질 향상을 위한 새로운 주거 유형으로 쉐어하우스가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내 쉐어하우스 수요·공급 결정요인의 우선순위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쉐어하우스 수요·공급 결정요인의 특성 및 차이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 공급 결정요인으로는 경제적 측면의 '보증금 감소', '월 임대료 감소'와 입지적 측면의 편리성 요인인 '교통 접근성(역세권)', 시설적 측면의 생활환경 요인인 '프라이버시 확보'가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수요 결정요인으로는 경제적 측면의 '보증금 감소', '월 임대료 감소', '주거유지비 공동부담'과 입지적 측면의 안전성 요인인 '방범체계 유무', 시설적 측면의 물리적 요인인 '개인공간의 면적'이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쉐어하우스가 1인 가구 주거비 절감 및 주거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선호되는 주거유형으로 공급이 확대되고 있으나, 시설의 선호 입지와 개인공간의 규모 및 면적에 관하여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중요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2 As the extension of social awareness about the sharing economy and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due to the long-term economic recession, shared housing is rising as a new type of housing for reducing the burden of the housing expenditur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aims to obtai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determinants by demand and supply for the provider and the potential consumer of shared housing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Decrease in deposit', 'Decrease in monthly rent', 'Accessibility of transportation' and 'Privacy' are listed as an important supply factor for deciding the supply of shared housing. Secondly, 'Decrease in deposit', 'Decrease in monthly rent', 'Joint burden of living expenses', 'Presence of security system' and 'Area of private space' are mentioned as an important consumer factor for deciding the demand of shared housing. Thirdly, the supply of shared housing is expanding as the alternative of reduced housing costs and residential safety for the single-person households. Finally,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importance about the preference of shared housing location and extend of private space on the priority of determinants of shared housing between the provider and the potential consumer.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