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1901년 『충청남도연산군양안』을 활용한 연산현 읍치의 계층별 주민분포 특성에 관한 고찰/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illagers by Class in the Yeonsan-hyun Eup-chi Using the 「Chungcheongnamdo Ryang-an」 of 1901, an Official Land Register of the Joseon Dynasty
저자명 백효진(Baek, Hyo-Ji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1(통권 제91호)
페이지 pp.111~124
ISSN 15980650
주제어 조선시대 ; 읍치 ; 주민분포 ; 양안 ; 급조가지 Joseon ; Eup-Chi ; Distribution of Neighbors ; Ryan-An ; Geupjo-Gaji
요약1 본 연구는 1901년 『충청남도연산군양안』에 기록된 필지정보를 통해 당시 거주민의 계층별 분포특성을 명확히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경국대전』의 「급조가지」 계층분류를 기준으로 1901년 추정도 상에 계층별 주민 분포 양상과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첫째, 상위관인은 치소의 배치와 상관없이 거주환경이 가장 양호한 입지를 점유하는 특징이 있었다. 토착성씨인 송(宋)씨가 중심을 이루며, 이들은 연산현의 주요행정을 맡았던 집단으로 판단된다. 둘째, 하위관인은 치소배치 축을 공유하는 치소 앞 마을에 주로 위치하며, 행정편의에 따른 공간 점유 특성이 드러났다. 셋째, 관노(官奴) 등 말단 관인을 포함하는 서인은 치소 각 시설에 인접하는 특성을 보였다. 서인 중 법률의 택지규모 보다 작은 택지는 상위관인 택지 주변에 분포하고 있었다. 이는 생계와 관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도시인 연산현 읍치에는 각 계층이 상호관계하며 공간을 점유하는 특징이 드러났다. 이 연구는 행정구역이 아닌 읍치 일대의 공간영역을 대상으로, 행정시설이 아닌 주민계층별 택지분포를 공간지도에 가시화한 점, 공간연구에 있어 양안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villagers in different socio-political classes in the late 19th century using parcel-level land register data archived in the 『Chungchengnam-do Ryang-an』 of 1901. Using a map constructed from the 'Ryang-an', the author examined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villagers whose classes were defined based on a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Gyeong guk-daejeo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upper class tended to occupy the most favorable residential location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Chi-so', an administrative office complex. Second, the subordinate class mainly resided in front of the 'Chi-so', along the axis of the administrative offices due to administrative convenience. Third, the commoners, including government slaves, tended to reside nearby administrative facility. Of the commoners, those who occupied smaller lots than the legal allowance were located nearby upper class houses, probably due to their livelihoods depended on the upper class. Overall, the spatial pattern of this area was formed by the interrelation and occupation between villages in different cla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1) visualizing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based not on administrative facilities but on villagers' socio-political classes, and 2) using the 'Ryang-an' as a data source for spatial analysi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