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군산 근대 주거 건축물의 특징과 '근대·일반 건축물 리모델링 보조사업'에 의한 변화 연구/The Study of Modern Gunsan Residential Building Features and Changes by 'Modern & General Building Remodeling Assistance Business'
저자명 배진아(Bae, Jin-A) ; 김종성(Kim, Jong-Sung) ; 김현숙(Kim, Hyun-Suk)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6(통권 제90호)
페이지 pp.5~18
ISSN 15980650
주제어 근대 건축물 ; 리모델링 ; 도시재생 Modern Buildings ; Remodeling ; Urban Regeneration
요약1 본 연구는 군산의 근대 주거 건축물의 보존 및 활성화를 위해 특징을 분석하고 건축물의 리모델링 전후 변화양상을 비교함으로서 근대건축물의 특징이 리모델링 사업에 의해 재구축되어가는 과정에서의 문제와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근대 건축물과 리모델링 사업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구축한 뒤 30개 대표 건축물을 실측하여 도면을 작성하였다. 필지, 경관 측면에서 나타나는 건축물의 특징을 분석한 뒤 8건의 리모델링 사례와 비교하여 변화양상을 도출하였다. 8건의 리모델링 사례 중 7건이 주거용에서 상업용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독주택 특징을 규정짓는 요소인 담장, 대문, 정원이 모두 철거되어 본래의 경관이 크게 훼손되었다. 마찌야는 대규모 부섭지붕, 수평·수직 띠를 최대한 보존하고자 하였으나 로지가 오픈스페이스로 전환되면서 가로에서 바로 2층 후면으로 진입하던 출입방식이 소멸되었다. 나가야는 본 지붕과 부섭지붕 사이를 수평·수직 띠가 아닌 유리로 채워 현대적인 경관이 형성되었는데 리모델링 기준을 전통경관 복원 보다는 상업시설로서의 이용가치를 높이는데 치중했기 때문이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issues and tasks of modern architectural features arising from the retrofit process of remodeling project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modern buildings in Gunsan for conservation and activation.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of buildings before and after the remodeling, this study surveyed the drawings of 30 representative buildings after constructing the framework to analyze modern buildings and remodeling business.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appearing from the lot and landscape aspec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a compared with eight remodeling cases to extract the aspect changes. Seven cases out of eight cases have changed from residential use to commercial one and the original landscapes were significantly damaged with the removals of walls, gates and gardens those characterize the features of detached houses. Massive lean-to ro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were preserved as much as possibile but it was converted into open spaces and the entrance-making method of going in from the rear of second floor was lost. The gaps between main roofs and lean-to roofs were not filled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but glasses and formed modern landscape, which is the result from the utility value maximization as commercial facilitie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landscap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