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기후변화 수재해 회복력 증진을 위한 도시홍수 대응 전략 우선순위 분석 및 대응수준 인식 평가/인천시 굴포천 상류 도심지역을 중심으로/Development of Flood Mitigation Strategies for Urban Resilience: Focused on the Assessment of Gulpo Stream's Watershed in Incheon, South Korea
저자명 김유정(Kim, You Joung) ; 이지은(Lee, Ji eun) ; 김경배(Kim, Kyung Bae)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5(통권 제89호)
페이지 pp.5~20
ISSN 15980650
주제어 기후변화 ; 수재해 회복력 ; 도시홍수 대응전략 ; 굴포천 ; 델파이 ; 계층적 의사결정방법 Climate Flood Resilience ; Hazard Mitigation Strategy ; Gulpo-stream ; Delphi ; AHP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따른 수재해 회복력증진을 위한 도시홍수 대응전략과 계획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인천시 굴포천의 홍수 대응수준을 평가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홍수재해 및 도시회복력의 개념과 홍수 대응전략을 고찰하고, 델파이(Delphi)와 계층적 의사결정기법(AHP)을 활용하여 홍수대응전략을 구성하는 핵심목표와 계획지표의 중요도, 우선순위 그리고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계획지표를 인천시 굴포천에 시범적용하여 홍수 대응전략 및 역량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5대 도시홍수 대응전략과 16개 세부전략이 도출되었다. 인천시 굴포천 대응전략 및 역량 수준에 대한 전문가 인식 평가결과 대응전략의 평균은 56.79점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홍수조절 부문(61.24점)이 가장 높고, 모니터링(52.42점)과 홍수복구(53.30점) 부문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대응역량의 경우 총 평균 54.76점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경계역량(57.28점)이 가장 높고, 적응역량(52.05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홍수재해 회복력의 관점에서 도심하천의 장기적인 대응역량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평가의 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요약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lood mitigation strategies enhancing urban resiliency. In order to achieve it, the evaluation framework consisting of five goals with sixteen strategies has been identified by analysing priority and important strategies expected to increase the level of urban resilience. Delphi and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with pair-wise survey for experts were adopted as key research methods. By using this framework, the level of flood resilience of Gulpo stream's watershed in Incheon was evaluated. The analy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resilience on Gulpo stream is 56.79 in total which can be in normal capacity. In detail, the mitigation section receives the highest scores of 61.24 within the level of good capacity while the monitoring and recovery section receive the lowest scores of 52.42 and 53.50 each compared to other 5 capacities within the normal capacity level. The study results could be a useful evidence for suggesting policy alternatives and direction for future waterfront developments and guidance for local planners and authorities involving in flood mitigation.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