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근린환경에서 아동 바깥놀이 활동의 시간·공간 특성/서울시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근린 놀이환경 인식을 기반으로/T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Outdoor Play in Residential Areas -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 Parents' Perception in Seoul
저자명 박진희(Park, Jin-Hee) ; 김준형(Kim, Jun-Hyung) ; 박소현(Park, So-Hyu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1(통권 제85호)
페이지 pp.65~82
ISSN 15980650
주제어 아동 ; 바깥놀이 ; 놀이시간 ; 놀이장소 ; 근린환경 Children ; Outdoor Play ; Playtime ; Playspace ; Residential Neighborhood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근린환경에서 아동의 바깥놀이 공간 및 시간 특성, 공간이용 패턴 그리고 집으로부터의 근접성이 바깥놀이 활동과 갖는 관계를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전체 지역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25일부터 5월 18일 사이에 서울시 초등학교 저학년 500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알아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은 일주일동안 하루 평균 30.4분 바깥놀이를 하는데, 주중에는 하루 평균 26.6분, 주말에는 하루 평균 39.9분으로 주말에 비해 주중에 짧은 시간 놀이를 한다. 둘째, 주중에는 주로 집에서부터 걸어서 20분 이내로 접근이 가능한 공간에서 놀이를 한다면, 주말에는 걸어서 30분 이상 위치하는 공공공간으로 놀이가 확장된다. 셋째, 집에서부터의 근접성과 이용도가 가지는 관계는 놀이장소에 따라, 그리고 주중과 주말이라는 시간적 변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근접성과 이용도의 관계를 단편적으로 결론짓기는 어렵다. 이처럼 아동의 바깥놀이의 복합적인 특성을 고려한 근린계획 및 아동 놀이시설계획이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가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요약2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general states of children's outdoor play time and play space in Seoul. As for research methods, a city-wide survey was conducted for 500 parents of the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during April and May 2016.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 Seoul play an average 30.4 minutes per day for a week. They play an average 26.6 minutes per day on weekdays, which increases to an average 39.9 minutes on weekends. Second, play spaces on weekdays exist in average 20 minute distance from home, but play spaces on weekends exist more than 30 minutes distance away form hom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spaces' proximity from home and children's usages of them varies depending on whether it is weekday or weekend, as well as on a kind of play spaces. The complicated patterns of children's outdoor play present meaningful implications to neighborhood planning and to children's play facility planning. With respect to children's outdoor play, the planning approaches need to consider not just one dimension of the distance but multiple dimensions of distance, use patterns, and tim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