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건축물 연면적 현황과 도시기본계획의 중심지와의 비교 분석을 통한 물리적 중심지 검증 연구/서울시 도시기본계획을 중심으로/The Verification of the Physical Urban Center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loor Area of the Building and the Urban Center of Urban Basic Plan(in Seoul) - With Case Study on the Seoul Urban Basic Plan
저자명 서주옥(Suh, Juok) ; 김도년(Kim, Donyun) ; 이성창(Lee, Seongchang)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1(통권 제79호)
페이지 pp.105~114
ISSN 15980650
주제어 도시기본계획 ; 건축물 연면적 ; 중심지 ; 비주거 용도 Urban Basic Planning ; Building Floor Area ; Urban Center ; NonResidental Use
요약1 본 연구는 서울의 도시기본계획인 '2030서울플랜'이 2014년에 확정·고시됨에 도시기본계획의 물리적 계획인 중심지계획에 따라 중심지가 재대로 관리·육성되는지를 검증하고, 중심지 형성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계획시 검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중심지는 기존 시가지에 중심지를 지정하는 방식과 신규개발지에 중심지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규개발 중심지는 상암, 문정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공공주도 사업으로 조성되어 10~20년 내에 물리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기존 시가지를 중심지로 지정한 경우는 청량리·왕십리, 창동상계, 미아 등으로 성장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지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물리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외에도 도시기본계획상 중심지가 아님에도 자생적으로 성장하여 중심지를 형성한 신사, 서초, 양재, 동대문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상업용도의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관광객 등이 유동인구가 많아 도시가 자생적으로 변모한 경우이다. 이를 통해 중심지를 형성하는 요인을 살펴보면 신규개발지는 도시계획적 수단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기존 시가지는 도시계획적인 수단보다는 집객이나 도시활동 등이 중심지 형성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지역의 성격에 따라 그에 적합한 중심지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요약2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and notification of '2030 Seoul Plan' in 201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urban centers and build up the framework for future plan based on the factors forming the urban center. The urban center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realization of plan and purpose of designation. The finding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ed: newly-developed centers such as Sangam, MunJung have been greatly changed in urban environment for the last 10-20 years by public development projects. In the case of designating the existing city area as the urban center, the physical change did not occur even though the designation was made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growth as Cheongryangri/Wangsinri, Changdong Sanggye and Mia. Though these centers had growth potential, there has no physical changes noticeably. Yangjae, Seocho, Shinsa, Dongdaemun, etc. are not the urban centers of Seoul urban basic planing have experienced substantial growth with high agglomeration of neighborhood commercial facilities and a large floating population. The principal influencing factors to form urban center are urban policy or city planning for newly-developed areas. The growth of urban centers in old city, on the other hand, are influenced by visitor attraction factors, urban activities, etc. The findings suggest tha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center is a key factor for effective urban planning.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