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다운로드
기사명 코아공유형 맞벽정비수법 모델화와 효과성 시뮬레이션/Models And Effectiveness Simulation Of The Core-Shared Renewal Methods In Pre-existing Urban District
저자명 주영재(Joo, Young-Jae) ; 박태원(Park, Tae-W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5(통권 제77호)
페이지 pp.77~90
ISSN 15980650
주제어 코아공유형 맞벽정비수법 ; 건축협정 ; 자력개발 ; 도시조직 ; 경제성 ; 커뮤니티 The Core-Shared Matbyuk Development Methods ; Building Agreement ; Voluntary Regeneration ; Urban Tissue ; Economic Feasibility ; Community
요약1 마을만들기와 같은 전국적인 수복형 도시재생방법론에 대한 열기는 양적성장시기에 공공주도로 기존의 도시조직을 반영하기 어려운 철거형 도시정비수법에 대한 반성과 그 대안적 해법찾기의 긍정적 결과이다. 주거지 재생에 있어서 거주자의 자발적 의지를 유도하고 도시 및 거주환경성이 고려된 신중한 제도 및 정책이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인 합필을 전제로 구성되는 철거형 개발에서 실현가능한 공유공간의 장점을 건축협정제도를 활용한 소단위 정비에 적용하여 도시조직을 보전하는 동시에 자력개발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정비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위필지에 제한되는 계단공간을 두 개 이상의 필지에서 사용가능하도록 공유공간화 하였다. 소규모 가구와 필지가 밀집해있는 노후주거지를 대상으로 코아공유형 맞벽정비 모델을 제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용도별 용적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별필지별 전용률을 높일 수 있었다. 더불어 단위필지의 형상 및 크기를 보전하여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가능성을 높이고,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필지단위 정비수법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요약2 The national boom to urban regeneration methodologies, such as Maeul-Mandeulgi is the positive result of finding alternative solutions and reflection of redevelopment methodology. Prudent policies that considered cities and dwelling environment performances as the willingness of residents is required to play in residential neighborhood regeneration. This study aim at suggesting lot-based housing renewal method that preserve the urban tissue and attract voluntary regeneration for applying public-interest in the building agreement such as streets and community facilities. Lot-based stair space is utilized by means of housing through stretch the meaning of public assets of urban. Conceptua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core-shared development methods are examined in pre-existing urban district concentrated small block and plot.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voluntary regeneration increased by additional area of exclusive use space every plot within the maximum Floor Area Ratio.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land-use is examined as lot-based urban tissue are preserved. Last, new low-rise housing type which contribute the community of solidarity and revitalization are examined.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